메뉴 여닫기
개인 메뉴 토글
로그인하지 않음
만약 지금 편집한다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될 수 있습니다.
Oracle (토론 | 기여)님의 2025년 8월 13일 (수) 00:55 판 (새 문서: == Oracle SQL 성능을 고려한 설계 방법 10가지 == === 인덱스(Index) 활용 === # '''인덱스 설계''' #: 특정 컬럼을 자주 조회하거나 조인(JOIN)에 사용하는 경우 인덱스를 생성하면 성능이 크게 향상됩니다. # '''인덱스 선택''' #: 대부분의 경우 '''B-tree 인덱스'''가 효과적입니다. 특정 컬럼의 값 분포가 낮거나 범위 검색이 빈번한 경우 '''비트맵(Bitmap) 인덱스'''를 고려할 수 있습...)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Oracle SQL 성능을 고려한 설계 방법 10가지

인덱스(Index) 활용

  1. 인덱스 설계
    특정 컬럼을 자주 조회하거나 조인(JOIN)에 사용하는 경우 인덱스를 생성하면 성능이 크게 향상됩니다.
  2. 인덱스 선택
    대부분의 경우 B-tree 인덱스가 효과적입니다. 특정 컬럼의 값 분포가 낮거나 범위 검색이 빈번한 경우 비트맵(Bitmap) 인덱스를 고려할 수 있습니다.
  • 인덱스 관리
  1. 사용하지 않는 인덱스를 주기적으로 정리하고, 인덱스가 깨지지 않거나 비효율적이지 않도록 관리해야 합니다.

SQL 플랜정보 분석 및 옵티마이저(Optimizer) 이해

  • SQL문 자체를 최적화하고, 데이터베이스가 최적의 실행 계획을 선택하도록 돕는 과정.
  1. 실행 계획(Execution Plan) 분석
    **`EXPLAIN PLAN`** 또는 **`DBMS_XPLAN`**을 사용하여 SQL문의 실행 계획을 분석하고, 성능 저하의 원인을 파악합니다.
  2. 옵티마이저 힌트(Hints) 활용
    옵티마이저가 잘못된 실행 계획을 선택하는 경우, 힌트를 사용하여 올바른 실행 계획을 유도할 수 있습니다. 예: `/*+ USE_NL(a b) */`
  3. 통계 정보(Statistics) 관리
    옵티마이저가 최적의 실행 계획을 수립하도록 주기적으로 통계 정보를 수집하고 갱신해야 합니다.

조인(JOIN) 최적화

  • 여러 테이블을 결합하는 조인 작업의 효율을 높여 성능을 개선합니다.
  1. 조인 순서(Join Order)
    대용량 테이블을 먼저 조인하고, 소량의 테이블을 나중에 조인하는 것이 일반적으로 효율적입니다.
  2. 조인 방식(Join Method)
    Nested Loop Join, Hash Join, Sort-Merge Join 등 다양한 조인 방식이 존재하며, 데이터의 양과 조인 조건에 따라 적절한 방식을 선택해야 합니다.

데이터 모델링(Data Modeling)

  • 데이터베이스 구조 자체를 효율적으로 설계하여 성능을 향상시킵니다.
  1. 정규화(Normalization): 데이터 중복을 최소화하여 데이터 무결성을 높입니다.
    그러나 과도한 정규화는 조인을 증가시켜 성능을 저하시킬 수 있습니다.
  2. 비정규화(Denormalization): 조회 성능 향상을 위해 의도적으로 중복 데이터를 허용합니다.
    자주 조회하는 데이터를 미리 계산하여 컬럼에 저장하는 등의 방법이 있습니다.

파티셔닝(Partitioning)

  • 대용량 테이블을 작은 논리적 단위로 분할하여 관리하는 기법입니다.
  1. 파티셔닝 전략
    범위(Range) 파티셔닝, 리스트(List) 파티셔닝, 해시(Hash) 파티셔닝 등 다양한 전략을 데이터 특성에 맞게 적용합니다.
  2. 파티셔닝 효과
    특정 파티션만 조회하여 I/O 부하를 줄이고, 대량의 데이터 삭제 및 로드 작업을 빠르게 수행할 수 있습니다.

SQL 작성 방법 개선

  • SQL문을 작성하는 방식을 최적화하여 성능을 높입니다.
  1. `WHERE` 절 최적화
    `WHERE` 절에 인덱스를 사용하지 못하게 하는 함수(예: `UPPER()`, `SUBSTR()`) 사용을 지양합니다.
  2. `SELECT` 절 최적화
    `SELECT *` 대신 필요한 컬럼만 명시하여 네트워크 전송량과 메모리 사용량을 줄입니다.

캐시(Cache) 및 메모리(Memory) 관리

  • 데이터베이스의 메모리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하여 디스크 I/O를 최소화합니다.
  1. SGA(System Global Area) 및 PGA(Program Global Area) 설정
    SGA는 공유 메모리, PGA는 세션 전용 메모리입니다.
    이들의 크기를 적절하게 설정하여 성능을 최적화해야 합니다.
  2. Shared Pool 및 Buffer Cache
    Shared Pool은 SQL 실행 계획을, Buffer Cache는 데이터 블록을 캐싱하여 성능을 향상시킵니다.

트랜잭션(Transaction) 관리

  • 데이터베이스의 일관성과 무결성을 보장하면서 성능 저하를 최소화합니다.
  1. 짧은 트랜잭션
    긴 트랜잭션은 락(Lock)을 유발하여 다른 세션의 작업을 방해할 수 있으므로, 가능한 짧게 유지합니다.
  2. 락(Lock) 관리
    락이 걸리지 않도록 SQL을 작성하고, `COMMIT` 또는 `ROLLBACK`을 명시적으로 사용해야 합니다.

배치(Batch) 처리 최적화

  • 대량의 데이터를 처리하는 배치 작업의 성능을 향상시킵니다.
  1. 배치 작업
    대용량 데이터 처리 시, 커밋(Commit) 단위를 정하여 일정 단위로 커밋하는 것이 좋습니다.
  2. 벌크(Bulk) 처리
    `FORALL` 또는 `BULK COLLECT`를 사용하여 한 번의 네트워크 통신으로 여러 건의 데이터를 처리하여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하드웨어 및 시스템 환경 최적화

  • 데이터베이스가 구동되는 물리적 환경을 최적화하여 성능을 높입니다.
  1. 하드웨어
    충분한 CPU, 메모리, SSD(Solid State Drive)와 같은 고속 스토리지를 사용합니다.
  2. OS 및 네트워크
    OS(Operating System)의 파라미터 튜닝과 네트워크 대역폭 확보를 통해 시스템 전반의 성능을 개선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