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위 시스템 | 요구사항 1레벨 | 요구사항 2레벨 | 요구사항 3레벨 | 요구사항 유형 | 요구사항 ID | 요구사항명 | 상세설명 | 제약사항 | 해결방안 | 고객검토의견 | 도출(등재)단계 | 출처 | 법제도 개선여부 | 추진단과제 구분 | 기능 종류(편의개선, 프로세스개선, 유지, 신규) | 오픈단계 | 관련부서 | 추진단 담당자 | 수행사 담당자 | 수용여부 (검토중/수용/미수용) | 진행단계(작성중/내부검토중/고객검토중/고객검토완료/고객의견반영완료/검토완료/종료) | 사용자변경구분 | 요구사항 변경내역 | 변경근거/이력 | Source 요구사항ID(나=신규일 때) | Target 요구사항ID(나=종료일 때) | 검사기준 | 비고 |
---|---|---|---|---|---|---|---|---|---|---|---|---|---|---|---|---|---|---|---|---|---|---|---|---|---|---|---|---|
DB아키텍처 | 데이터베이스 모델 설계 및 검증 | 데이터 | REQ-TD-0010 | DB 아키텍처 설계 | ㅇ 데이터 모델링 설계 방향
- 단위 시스템에 부하가 집중되거나 서비스가 지연 혹은 장애가 발생한 경우에도 타 시스템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DB를 설계해야 함 - 망분리 환경(인터넷망, 업무망)과 특정시점에 부하가 집중되는 업무특성을 고려하여 인터넷망과 업무망에 별도 DB를 구축시 정합성 유지를 고려해야 함 |
1. TOBE 설계 시 특정 시스템의 부하로 인한 연쇄 장애가 발생되지 않도록 부하분산을 고려한 아키텍처 설계 적용
- DB 가용성 확보 방안 - 테이블 파티션 방안 - DB 계정 설계 2. 망분리 환경(인터넷망, 업무망)에서 별도 DB로 구축할 경우 정합성 유지를 위한 데이터 연계 방안을 고려하여 설계에 반영 - 데이터 연계 방안(ESB, ETL, CDC 등) 검토 및 설계 반영 |
NX-462-01(DA_DBA-240321)-요구사항정의서검토.hwpx | 최초 | DAR-001(데이터베이스 모델 설계 및 검증) 불필요 | 01.마스터데이터 | 비기능 | 비대상 | 추진단 | 수용 | 검토완료_확정 | 최초 | 아키텍처 정의서
데이터베이스설계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