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9월 16일 (화)
- 11:052025년 9월 16일 (화) 11:05 차이 역사 −1 성능 문제 식별 방법론과 튜닝 접근법 →Python 기반 성능 모니터링 자동화
- 11:042025년 9월 16일 (화) 11:04 차이 역사 +6 성능 문제 식별 방법론과 튜닝 접근법 →ADDM 보고서 자동 생성 스크립트
- 11:032025년 9월 16일 (화) 11:03 차이 역사 +300 성능 문제 식별 방법론과 튜닝 접근법 편집 요약 없음
- 11:002025년 9월 16일 (화) 11:00 차이 역사 −357 성능 문제 식별 방법론과 튜닝 접근법 편집 요약 없음
- 10:552025년 9월 16일 (화) 10:55 차이 역사 +474 성능 문제 식별 방법론과 튜닝 접근법 편집 요약 없음
- 10:532025년 9월 16일 (화) 10:53 차이 역사 +1 성능 문제 식별 방법론과 튜닝 접근법 편집 요약 없음
- 10:522025년 9월 16일 (화) 10:52 차이 역사 +14,970 새글 성능 문제 식별 방법론과 튜닝 접근법 새 문서: == 성능 문제 식별 방법론과 튜닝 접근법 == ## 1. 성능 문제 분석 방법론 ### 1.1 Top-Down 접근법 (시스템 → 세션 → SQL) **단계별 분석 순서:** ``` 시스템 전체 성능 → 인스턴스 레벨 → 세션 레벨 → SQL 레벨 → 오브젝트 레벨 ``` **장점:** - 전체적인 시스템 상황 파악 가능 - 우선순위가 높은 문제부터 식별 - 리소스 사용률 기반의 객관적 분석 **분석 도구:** - ADDM (Autom...
- 10:522025년 9월 16일 (화) 10:52 차이 역사 +4 DBA 성능 튜닝 가이드 →성능 튜닝 개요 (Performance Tuning Overview) 최신
- 10:482025년 9월 16일 (화) 10:48 차이 역사 +124 DBA 성능 튜닝 가이드 편집 요약 없음
- 10:452025년 9월 16일 (화) 10:45 차이 역사 −30 DBA 성능 튜닝 가이드 편집 요약 없음
- 10:442025년 9월 16일 (화) 10:44 차이 역사 +2 DBA 성능 튜닝 가이드 →Oracle Database 19c 성능 튜닝 가이드
- 10:422025년 9월 16일 (화) 10:42 차이 역사 +49 DBA 성능 튜닝 가이드 →DBA를 위한 핵심 실행 절차
- 10:402025년 9월 16일 (화) 10:40 차이 역사 +32 DBA 성능 튜닝 가이드 편집 요약 없음
- 10:352025년 9월 16일 (화) 10:35 차이 역사 +4,409 새글 DBA 성능 튜닝 가이드 새 문서: # Oracle Database 19c 성능 튜닝 가이드 요점 정리 ## 주요 목록 구성 ### 1. 성능 튜닝 개요 (Performance Tuning Overview) - **핵심 기능**: 성능 문제 식별 방법론과 튜닝 접근법 - **요점**: - 성능 문제의 근본 원인 분석 - 시스템적 접근법 vs 개별 SQL 튜닝 - 성능 모니터링의 중요성 ### 2. 자동 데이터베이스 진단 모니터 (ADDM) - **핵심 기능**: 자동화된 성능 분석 및 권고사항...
2025년 9월 11일 (목)
- 12:072025년 9월 11일 (목) 12:07 차이 역사 +2 오라클 컬럼의 구조 →개요 최신
- 12:072025년 9월 11일 (목) 12:07 차이 역사 +3 오라클 컬럼의 구조 →개요
- 12:062025년 9월 11일 (목) 12:06 차이 역사 +54 오라클 컬럼의 저장순서 편집 요약 없음
- 12:052025년 9월 11일 (목) 12:05 차이 역사 +7,020 새글 오라클 컬럼의 구조 새 문서: = Oracle 컬럼의 물리적 구조 = == 개요 == Oracle Database에서 컬럼의 '''물리적 저장 구조'''는 성능과 저장 효율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핵심 아키텍처 요소입니다. 이 문서는 '''DBA 및 데이터베이스 전문가'''를 대상으로 컬럼의 바이트 레벨 저장 구조부터 성능 최적화까지 상세히 다룹니다. == Row Format Architecture == === Row Header Structure (3 bytes) === {| class="wikitable" ! Byt...
- 11:562025년 9월 11일 (목) 11:56 차이 역사 +60 오라클 컬럼의 저장순서 편집 요약 없음
- 11:552025년 9월 11일 (목) 11:55 차이 역사 +7,568 컬럼의 순서가 변경시 ROW의 물리적 구조변화 편집 요약 없음
- 11:552025년 9월 11일 (목) 11:55 차이 역사 +6 새글 컬럼의 순서가 변경시 ROW의 물리적 구조변화 새 문서: ㅇㅇ
- 11:542025년 9월 11일 (목) 11:54 차이 역사 −130 컬럼의 순서가 변경되면 ROW의 물리적 구조도 바뀌는건가? 문서를 비움 최신 태그: 비우기
- 11:532025년 9월 11일 (목) 11:53 차이 역사 −1,681 컬럼의 순서가 변경되면 ROW의 물리적 구조도 바뀌는건가? 내용을 "== 컬럼 순서 변경 시 기존 저장된 row의 물리적 구조 변화 == * Oracle 컬럼 순서 변경과 Row 구조 변화:"(으)로 바꿈 태그: 대체됨
- 11:532025년 9월 11일 (목) 11:53 차이 역사 −4,810 컬럼의 순서가 변경되면 ROW의 물리적 구조도 바뀌는건가? 편집 요약 없음
- 11:522025년 9월 11일 (목) 11:52 차이 역사 −945 컬럼의 순서가 변경되면 ROW의 물리적 구조도 바뀌는건가? 편집 요약 없음
- 11:512025년 9월 11일 (목) 11:51 차이 역사 −8 컬럼의 순서가 변경되면 ROW의 물리적 구조도 바뀌는건가? 편집 요약 없음
- 11:502025년 9월 11일 (목) 11:50 차이 역사 +7,574 새글 컬럼의 순서가 변경되면 ROW의 물리적 구조도 바뀌는건가? 새 문서: == 컬럼 순서 변경 시 기존 저장된 row의 물리적 구조 변화 == * Oracle 컬럼 순서 변경과 Row 구조 변화: === 기본 원칙: 기존 Row는 변경되지 않음! === * 테스트 데이터 생성 및 ROW 구조 확인 <source lang=sql> -- 초기 테이블 생성 CREATE TABLE column_order_test ( id NUMBER, name VARCHAR2(20), status CHAR(1) ); -- 초기 데이터 삽입 INSERT INTO column_order_test VALUES (1, 'John', 'A'); INSERT INTO column_o...
- 11:332025년 9월 11일 (목) 11:33 차이 역사 +139 오라클 컬럼의 저장순서 편집 요약 없음
- 11:052025년 9월 11일 (목) 11:05 차이 역사 0 오라클 컬럼의 저장순서 편집 요약 없음
- 11:052025년 9월 11일 (목) 11:05 차이 역사 +11 오라클 컬럼의 저장순서 편집 요약 없음
- 11:042025년 9월 11일 (목) 11:04 차이 역사 +10 오라클 컬럼의 저장순서 편집 요약 없음
- 11:042025년 9월 11일 (목) 11:04 차이 역사 −4 오라클 컬럼의 저장순서 편집 요약 없음
- 11:032025년 9월 11일 (목) 11:03 차이 역사 +2 오라클 컬럼의 저장순서 →실제 테스트로 확인하기
- 11:022025년 9월 11일 (목) 11:02 차이 역사 +6 오라클 컬럼의 저장순서 편집 요약 없음
- 10:572025년 9월 11일 (목) 10:57 차이 역사 +12 오라클 컬럼의 저장순서 →실제 저장 구조 분석
- 10:562025년 9월 11일 (목) 10:56 차이 역사 +70 오라클 컬럼의 저장순서 →실제 저장 구조 분석
- 10:552025년 9월 11일 (목) 10:55 차이 역사 +69 오라클 컬럼의 저장순서 →실제 저장 구조 분석
- 10:542025년 9월 11일 (목) 10:54 차이 역사 +6 오라클 컬럼의 저장순서 →컬럼 접근 시 Oracle의 내부 동작
- 10:532025년 9월 11일 (목) 10:53 차이 역사 +2 오라클 컬럼의 저장순서 →Row Format에서의 저장
- 10:532025년 9월 11일 (목) 10:53 차이 역사 −17 오라클 컬럼의 저장순서 →Row Format에서의 저장
- 10:532025년 9월 11일 (목) 10:53 차이 역사 −1 오라클 컬럼의 저장순서 →Row Format에서의 저장
- 10:522025년 9월 11일 (목) 10:52 차이 역사 +4 오라클 컬럼의 저장순서 →Row Format에서의 저장
- 10:522025년 9월 11일 (목) 10:52 차이 역사 +7 오라클 컬럼의 저장순서 →Row Format에서의 저장
- 10:522025년 9월 11일 (목) 10:52 차이 역사 +281 오라클 컬럼의 저장순서 편집 요약 없음
- 10:262025년 9월 11일 (목) 10:26 차이 역사 +14 오라클 컬럼의 저장순서 →오라클 컬럼의 저장 순서
- 10:252025년 9월 11일 (목) 10:25 차이 역사 +17 오라클 컬럼의 저장순서 →오라클 컬럼의 저장 순서
- 10:242025년 9월 11일 (목) 10:24 차이 역사 +2 오라클 컬럼의 저장순서 →오라클 컬럼의 저장 순서
- 10:232025년 9월 11일 (목) 10:23 차이 역사 +6,602 새글 오라클 컬럼의 저장순서 새 문서: == 오라클 컬럼의 저장 순서 == {{틀:개요 |내용= Oracle row에서 실제 저장된 컬럼의 순서는 매우 중요한 개념이므로 정확히 이해 해야 합니다. === Oracle Row 컬럼 저장 순서 규칙 === ==== 기본 원칙: 테이블 정의 순서 유지 ==== * 예시 테이블 생성 <source lang=sql> -- 테이블 정의 순서 CREATE TABLE row_order_test ( col1 NUMBER, -- 1번째 컬럼 col2 VARCHAR2(10), -- 2번째 컬럼 col...
- 10:152025년 9월 11일 (목) 10:15 차이 역사 +259 대문 →ORACLE
2025년 9월 4일 (목)
- 17:172025년 9월 4일 (목) 17:17 차이 역사 +2 NL 조인 →Nested Loop Join 의 개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