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여닫기
개인 메뉴 토글
로그인하지 않음
만약 지금 편집한다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될 수 있습니다.

새 문서 목록

다른 명령
새 문서 목록
등록된 사용자 숨기기 | 봇을 숨기기 | 넘겨주기를 보이기
(최신 | 오래됨) ( | 이전 50개) (20 | 50 | 100 | 250 | 500) 보기
  • 2025년 5월 27일 (화) 00:12ALTER TABLE 구문 (역사 | 편집) ‎[3,626 바이트]Oracle (토론 | 기여) (새 문서: # 오라클 ALTER TABLE 문 == 개요 == {{요약 |내용= '''ALTER TABLE'''은 오라클 데이터베이스에서 기존 테이블의 구조를 변경하는 DDL(Data Definition Language) 명령어입니다. 테이블 생성 후 다양한 수정 작업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 == 주요 기능 == * 컬럼 추가/삭제/수정 * 제약조건 추가/삭제/활성화/비활성화 * 테이블 이름 변경 * 테이블스페이스 이동 * 파티션 관리 * 스토리지...)
  • 2025년 5월 27일 (화) 00:04DELETE 구문 (역사 | 편집) ‎[2,964 바이트]Oracle (토론 | 기여) (새 문서: # 오라클 DELETE 문 == 개요 == '''DELETE''' 문은 오라클 데이터베이스에서 테이블의 데이터 행을 제거하는 데 사용되는 DML(Data Manipulation Language) 명령어입니다. 조건에 맞는 특정 행들만 삭제하거나, 테이블의 모든 데이터를 삭제할 수 있습니다. ## 기본 구문 ```sql DELETE FROM table_name [WHERE condition]; ``` == DELETE 문의 주요 특징 == * 테이블에서 행 단위로 데이터 삭제 * WHERE 절...)
  • 2025년 5월 18일 (일) 10:26EXPLAIN PLAN (역사 | 편집) ‎[1,032 바이트]Oracle (토론 | 기여) (새 문서: === EXPLAIN PLAN이란? === * SQL 문이 어떻게 실행될 예정인지 보여주는 계획표입니다. * 인덱스를 쓸지, 테이블을 어떻게 읽을지 등을 확인할 수 있어 성능 튜닝에 매우 중요합니다. * 실행 결과를 알려주는 건 아니고, 실행 “전”에 Oracle이 세운 실행 전략을 보여줍니다. ---- ==== 사용 방법 ==== ===== 1단계: PLAN_TABLE 준비 (보통 기본 제공됨) ===== <source lang=sql> @?/rdbms/admin/ut...)
  • 2025년 5월 18일 (일) 10:13테이블 컬럼 데이터 유형 (역사 | 편집) ‎[7,840 바이트]Oracle (토론 | 기여) (새 문서: === 테이블 === === 컬럼 === === 데이터 유형 === 다음은 **Oracle 주요 데이터 유형**을 초보자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정리한 미디어위키 표입니다. 간단한 설명과 예시를 포함했습니다. ```wikitext {| class="wikitable" style="border-collapse: collapse; width: 100%; font-size: 14px;" |- ! style="border-right: 1px solid #e0e0e0; padding: 10px; text-align: left; background: #f8f9fa;" | 데이터 유형 ! style="border-right: 1...)
  • 2025년 5월 18일 (일) 01:11실행 계획을 해석하는 법 (역사 | 편집) ‎[1,317 바이트]Oracle (토론 | 기여) (새 문서: == SQL 실행 계획을 해석하는 법 == * 실행 계획(Execution Plan) 해석 - 주요 용어와 의미 {| class="wikitable" ! 실행 방식 || 설명 || 성능 특징 |- | TABLE ACCESS FULL || 테이블 전체를 처음부터 끝까지 읽음 || 느릴 수 있음 (행이 많을수록 비효율적) |- | TABLE ACCESS BY INDEX ROWID || 인덱스로 찾은 후, 해당 행을 테이블에서 읽음 || 보통 빠름 (인덱스를 쓰기 때문에) |- | INDEX UNIQUE SCAN || 인...)
  • 2025년 5월 14일 (수) 00:56SQL 기본 (역사 | 편집) ‎[341 바이트]Oracle (토론 | 기여) (새 문서: === 데이터 베이스 용어 설명 === === SELECT 기본 구문 작성 순서 === === GROUP BY 절 === === WITH 절 === === SQL 조인 === === INSERT 구문 === === UPDATE 구문 === === MERGE 구문 ===)
  • 2025년 5월 13일 (화) 23:21정규표현식(regular expression) (역사 | 편집) ‎[6,045 바이트]Oracle (토론 | 기여) (새 문서: 좋아요! 정규표현식을 처음 배우는 분도 이해할 수 있도록, Oracle 19c에서 사용하는 정규표현식 패턴을 쉬운 설명 + 예시 중심으로 하나씩 자세히 설명드릴게요. ⸻ 정규표현식 기초 패턴 설명 (Oracle 기준) {| class="wikitable" ! 패턴 !! 의미 !! 쉬운 설명 !! 예시 |- | . || 임의의 한 글자 || 어떤 글자든 한 글자만 || <code>a.c</code> → "abc", "axc" |- | * || 0회 이상 반복 || 없어도...)
  • 2025년 5월 13일 (화) 19:34틀테스트 (역사 | 편집) ‎[2,362 바이트]Oracle (토론 | 기여) (새 문서: * 요점 {{요점 |배경색 = #f7d4063e |선굵기 = 3px |테두리색 = #de5a5a |사이즈 = 100% |둥굴기 = 4px |스타일 = dashed |내용 = <center>요점정리 <b>내용 누설</b>을 원하지 않는다면 열람을 삼가주세요.</center> }})
  • 2025년 5월 13일 (화) 19:20예외처리 고급 예시 (역사 | 편집) ‎[944 바이트]Oracle (토론 | 기여) (새 문서: 예외처리 고급 예시 3-1. 사용자 정의 예외 처리 DECLARE e_too_young EXCEPTION; v_age NUMBER := 15; BEGIN IF v_age < 18 THEN RAISE e_too_young; END IF; EXCEPTION WHEN e_too_young THEN DBMS_OUTPUT.PUT_LINE('나이가 너무 어립니다!'); END; ⸻ 3-2. OTHERS 예외 로그 저장 DECLARE v_emp_id NUMBER := 99999; v_name VARCHAR2(50); BEGIN SELECT first_name INTO v_name FROM employees WHERE employee_id = v_emp_id; EXCEPTION WH...)
  • 2025년 5월 13일 (화) 19:19커서(Cursor) 사용법 (역사 | 편집) ‎[888 바이트]Oracle (토론 | 기여) (새 문서: 2. 커서(Cursor) 사용법 2-1. 커서란? • SELECT 문의 결과를 한 행씩 처리할 수 있는 포인터 • 묵시적 커서 (자동 처리) vs 명시적 커서 (직접 선언) ⸻ 2-2. 명시적 커서 예제 DECLARE CURSOR emp_cursor IS SELECT employee_id, first_name FROM employees WHERE department_id = 10; v_id employees.employee_id%TYPE; v_name employees.first_name%TYPE; BEGIN OPEN emp_cursor; LOOP FETCH emp_cursor INTO v_id, v_name;...)
  • 2025년 5월 13일 (화) 19:18PL/SQL 프로시저 / 함수 만드는 법 (역사 | 편집) ‎[1,322 바이트]Oracle (토론 | 기여) (새 문서: 좋습니다! 요청하신 내용을 순서대로 자세히 설명드릴게요. Oracle 19c 기준으로 실무에서도 자주 쓰이는 스타일로 정리했습니다. ⸻ 1. PL/SQL 프로시저 / 함수 만드는 법 1-1. 프로시저 (Procedure) • 특정 작업을 수행하고, 결과를 반환하지 않아도 됨 • 보통 INSERT, UPDATE, DELETE 같은 실행 작업에 사용 예제: 직원 추가 프로시저 CREATE OR REPLACE PROCEDURE add_employee ( p_id IN...)
  • 2025년 5월 13일 (화) 19:16PL/SQL 기초 (역사 | 편집) ‎[3,645 바이트]Oracle (토론 | 기여) (새 문서: Oracle의 PL/SQL은 Procedural Language extensions to SQL의 약자로, SQL에 절차적 프로그래밍 기능을 추가한 Oracle의 고유한 프로그래밍 언어입니다. SQL은 단순한 질의와 조작에 적합하지만, 복잡한 로직(조건문, 반복문 등)은 어렵기 때문에 이를 보완하기 위해 PL/SQL이 만들어졌습니다. ⸻ PL/SQL 기초 설명 1. 영문 원뜻 • PL/SQL = Procedural Language/Structured Query Language ⸻ 2. 한글 원...)
  • 2025년 5월 13일 (화) 19:12패키지 (역사 | 편집) ‎[8,089 바이트]Oracle (토론 | 기여) (새 문서: Oracle 19c에서의 **패키지(Package)**는 관련된 **PL/SQL 객체들(프로시저, 함수, 변수 등)**을 하나로 묶어 모듈화된 구조로 제공하는 기능입니다. 이를 통해 코드의 재사용성, 유지보수성, 성능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 Oracle 19c 패키지 설명 1. 영문 원뜻 • Package = 꾸러미, 묶음 → 관련된 기능을 한 덩어리로 묶은 논리적 단위 ⸻ 2. 한글 원뜻 • 패키지 = 관련...)
  • 2025년 5월 13일 (화) 09:15프로시져 (역사 | 편집) ‎[4,364 바이트]Oracle (토론 | 기여) (새 문서: Oracle PL/SQL 프로시저 설명 1. 개념 • **프로시저(Procedure)**는 특정 작업을 수행하는 PL/SQL 서브프로그램입니다. • 함수와 달리 프로시저는 값을 반환하지 않으며, 주로 반복되는 작업이나 다양한 기능을 묶어두는 데 사용됩니다. • 입력 매개변수를 받아서 로직을 처리한 후, 결과는 출력 매개변수를 통해 반환할 수 있습니다. ⸻ 2. 주요 특징 • 반환 값 없음:...)
  • 2025년 5월 13일 (화) 09:12함수 (역사 | 편집) ‎[3,052 바이트]Oracle (토론 | 기여) (새 문서: Oracle PL/SQL에서 사용하는 “함수(Function)“에 대한 설명을 아래와 같이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 Oracle PL/SQL 함수 설명 (미디어위키 표 형식 포함) 1. 개념 요약 • **함수(Function)**는 하나의 값을 반환하는 PL/SQL 서브프로그램입니다. • 프로시저(Procedure)와 달리, 함수는 항상 RETURN을 통해 결과를 반환해야 하며, SQL문 안에서도 호출이 가능합니다. ⸻ 2. 주요 특징...)
  • 2025년 5월 13일 (화) 02:09인덱스 (역사 | 편집) ‎[6,135 바이트]Oracle (토론 | 기여) (새 문서: 좋아요! Oracle 19c에서 인덱스(Index) 가 무엇인지, 왜 중요한지 초보자도 이해할 수 있게 아주 쉽게 설명해드릴게요. ⸻ 인덱스(Index)란? 책에 비유하면? • 책에서 특정 단어를 찾을 때 “찾아보기(색인)” 를 이용하죠? • 오라클의 인덱스도 같은 역할을 해요. • 데이터를 빠르게 찾기 위해 정리된 목록(색인표) 을 만들어 놓는 거예요. ⸻ 왜 인덱스가 필요할까?...)
  • 2025년 5월 13일 (화) 01:54SQL 실행원리 와 과정 (역사 | 편집) ‎[6,661 바이트]Oracle (토론 | 기여) (새 문서: Oracle 19c에서 SQL이 실행될 때 내부적으로 어떤 단계들을 거치는지 초보자도 이해할 수 있도록 쉬운 말로, 단계별로 하나씩 설명드릴게요. ⸻ === Oracle SQL 실행 단계 === {| class="wikitable" ! 용어 || 설명 |- | SQL || Structured Query Language. 오라클 DB에 명령을 내리는 언어. 예: SELECT, INSERT, UPDATE, DELETE |- | 파싱 (Parsing) || SQL 문을 분석하여 문법 검사 및 필요한 객체(테이블, 컬럼...)
  • 2025년 5월 12일 (월) 13:09트리거 (역사 | 편집) ‎[3,771 바이트]Oracle (토론 | 기여) (새 문서: 좋습니다! Oracle 19c의 **트리거(Trigger)**는 특정 이벤트가 발생했을 때 자동으로 실행되는 PL/SQL 블록입니다. 예를 들어, INSERT/UPDATE/DELETE가 발생할 때 자동으로 특정 로직을 실행할 수 있도록 설정합니다. ⸻ ✅ 트리거 기본 개념 항목 설명 정의 특정 이벤트에 자동으로 반응하는 데이터베이스 객체 발동 시점 BEFORE / AFTER / INSTEAD OF 대상 이벤트 INSERT, UPDATE, DELETE 적용...)
  • 2025년 5월 12일 (월) 13:06그룹 함수 (역사 | 편집) ‎[4,967 바이트]Oracle (토론 | 기여) (새 문서: 물론입니다! Oracle SQL에서 **그룹 함수(Group Functions)**는 여러 행(Row)의 값을 그룹으로 묶어 하나의 결과 값으로 요약할 때 사용하는 함수입니다. 주로 GROUP BY절과 함께 사용되며, **집계 함수(Aggregate Functions)**라고도 부릅니다. ⸻ ✅ Oracle의 주요 그룹 함수 종류 {| class="wikitable" |+ Oracle Group Function 종류 및 설명 ! 함수명 !! 설명 !! 예제 SQL !! 결과 예시 |- | COUNT() || 행 수...) 태그: 시각 편집: 전환됨
  • 2025년 5월 12일 (월) 13:04원도우 함수 (역사 | 편집) ‎[8,791 바이트]Oracle (토론 | 기여) (새 문서: 좋습니다! Oracle SQL의 윈도우 함수(Window Function) 는 매우 강력한 기능으로, 행(row)들을 그룹으로 묶어 집계 또는 분석을 수행하면서도 행 단위로 결과를 반환합니다. 아래에 윈도우 함수의 개념, 주요 함수 종류, 설명, 사용 예제를 함께 정리하고, 미디어위키 표 형식으로도 제공합니다. ⸻ ✅ 윈도우 함수란? • 일반적인 집계 함수(SUM, AVG, COUNT, 등)는 여러 행을 하나...)
  • 2025년 5월 12일 (월) 13:01오라클SQL 과 안시SQL (역사 | 편집) ‎[3,342 바이트]Oracle (토론 | 기여) (새 문서: 좋습니다! Oracle SQL과 ANSI SQL의 차이를 예제와 함께 비교하여 설명드리겠습니다. 특히 문법 차이와 표현 방식 위주로 보여드릴게요. 또한 표는 미디어위키 형식으로 제공하겠습니다. ⸻ ✅ Oracle SQL vs ANSI SQL: 개념 차이 항목 설명 Oracle SQL Oracle Database에 최적화된 전용 SQL 문법 스타일입니다. ANSI SQL 국제 표준화된 SQL 문법으로, 다양한 DBMS에서 공통적으로 사용하는...)
  • 2025년 5월 12일 (월) 12:59UPDATE 구문 (역사 | 편집) ‎[4,558 바이트]Oracle (토론 | 기여) (새 문서: 좋은 요청 감사합니다! Oracle 19c 기준으로 UPDATE 구문을 초급과 고급으로 나누어 이해하기 쉽게 설명해드리겠습니다. ⸻ ✅ 1. 초급 - 기본 UPDATE 문법 UPDATE는 기존 데이터를 수정할 때 사용하는 명령어입니다. ▶ 기본 문법: UPDATE 테이블명 SET 컬럼1 = 값1, 컬럼2 = 값2, ... WHERE 조건; • SET: 변경하고 싶은 컬럼과 값을 지정합니다. • WHERE: 어떤 행(row)을 수정할지 조...)
  • 2025년 5월 12일 (월) 12:56INSERT 구문 (역사 | 편집) ‎[5,218 바이트]Oracle (토론 | 기여) (새 문서: 물론입니다. Oracle 19c 기준으로 INSERT 구문을 초보자 분도 이해하기 쉽도록 존칭을 사용해 설명드리겠습니다. ⸻ ✅ 기본 개념 설명 INSERT 구문은 테이블에 새로운 데이터를 추가할 때 사용됩니다. ⸻ ✅ 기본 문법 INSERT INTO 테이블명 (컬럼1, 컬럼2, ...) VALUES (값1, 값2, ...); • INSERT INTO: 데이터를 추가할 테이블명을 지정합니다. • (컬럼1, 컬럼2, ...): 어떤 컬럼에...)
  • 2025년 5월 10일 (토) 15:09LATERAL (역사 | 편집) ‎[3,110 바이트]Oracle (토론 | 기여) (새 문서: 좋아요! 이번엔 Oracle에서 LATERAL 구문에 대해 초보자도 이해할 수 있게 쉽게 설명드릴게요. LATERAL은 고급 SQL 문법 중 하나지만, 한 번 이해하면 매우 강력하게 쓸 수 있는 기능입니다. ⸻ 1. LATERAL이란? 영문 정의 The LATERAL clause allows a subquery in the FROM clause to reference columns from preceding tables in the same FROM clause. 한글 정의 LATERAL은 FROM 절에 있는 서브쿼리에서 앞에 나오...)
  • 2025년 5월 10일 (토) 15:07MERGE 구문 (역사 | 편집) ‎[4,779 바이트]Oracle (토론 | 기여) (새 문서: 좋아요! 이번엔 Oracle SQL에서 자주 사용되는 MERGE 구문에 대해 초보자도 이해할 수 있도록 설명드릴게요. MERGE는 특히 ETL 작업, 데이터 동기화, UPSERT 작업에서 많이 사용돼요. ⸻ 1. MERGE란? 영문 정의 The MERGE statement allows you to conditionally insert or update data in a target table based on the results of a join with a source table. 한글 정의 MERGE는 하나의 SQL 문으로, 대상 테이블에 대해 조...)
  • 2025년 5월 10일 (토) 15:01WITH 절 (역사 | 편집) ‎[11,150 바이트]Oracle (토론 | 기여) (새 문서: === WITH 절 === 1. WITH 절이란? 뜻 (영문) The WITH clause lets you define a temporary result set (also called a CTE: Common Table Expression) that you can refer to within your main query. 뜻 (한글) WITH 절은 **임시 테이블(=서브쿼리 결과)**을 먼저 정의하고, 그걸 메인 쿼리에서 재사용할 수 있게 해주는 문법이에요. ⸻ 2. 왜 사용할까? • 복잡한 서브쿼리를 미리 이름 붙여서 정리할 수 있음 • 가독...)
  • 2025년 5월 10일 (토) 14:58GROUP BY 절 (역사 | 편집) ‎[6,703 바이트]Oracle (토론 | 기여) (새 문서: 1. GROUP BY 절이란? • 뜻 (영문): GROUP BY is used to group rows that have the same values in specified columns into summary rows. • 뜻 (한글): GROUP BY는 특정 컬럼 값을 기준으로 같은 값들끼리 묶어서 결과를 보여주는 SQL 절입니다. ⸻ 2. 특징 • 집계 함수(예: COUNT(), SUM(), AVG(), MAX(), MIN())와 함께 자주 사용됩니다. • 데이터를 그룹별 요약하거나 분류해서 볼 수 있습니다. ⸻ 3. 사용...)
(최신 | 오래됨) ( | 이전 50개) (20 | 50 | 100 | 250 | 500)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