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여닫기
개인 메뉴 토글
로그인하지 않음
만약 지금 편집한다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될 수 있습니다.

새 문서 목록

다른 명령
새 문서 목록
등록된 사용자 숨기기 | 봇을 숨기기 | 넘겨주기를 보이기
(최신 | 오래됨) (다음 50개 | ) (20 | 50 | 100 | 250 | 500) 보기
  • 2025년 10월 24일 (금) 13:00카디널리티 와 셀렉티비티 (역사 | 편집) ‎[6,546 바이트]Oracle (토론 | 기여) (새 문서: == Cardinality (카디널리티) 와 Selectivity (선택도) {{핵심 |제목= * Cardinality (카디널리티) ** 특정 연산이나 조건에서 반환되는 예상 행의 개수 ** 절대적인 수치 (행 개수) ** 실행 계획의 “Rows” 컬럼에 표시됨 *:-------------- * Selectivity (선택도) ** 전체 행 중에서 조건을 만족하는 행의 비율 ** 상대적인 비율 (0 ~ 1 사이의 값, 또는 0% ~ 100%) ** 조건의 “선택적” 정도를 나타...)
  • 2025년 10월 22일 (수) 15:17테스트3 (역사 | 편집) ‎[134 바이트]Jhwang327 (토론 | 기여) (새 문서: 글쓰기 테스트1 제목1 제목2 제목3) 태그: 시각 편집
  • 2025년 10월 21일 (화) 13:05Hash join Probe 단계 처리과정 (역사 | 편집) ‎[7,193 바이트]Oracle (토론 | 기여) (새 문서: == hash join Probe단계 처리 과정 == * 질문 : 해시조인에서 Probe 단계에서 해시바킷을 사용 하니요? *: ==> 아니요! Probe 테이블의 컬럼은 해시 버킷에 저장되지 않습니다. * 예제 <source lang=sql> SELECT e.emp_id, e.name, e.salary, d.dept_name FROM employees e -- ← Build 테이블 (작은 테이블) JOIN departments d -- ← Probe 테이블 (큰 테이블) ON e.dept_id = d.dept_id </source> === 해시 버킷에 저장...)
  • 2025년 10월 21일 (화) 10:51해시 버킷의 저장구조 (역사 | 편집) ‎[21,292 바이트]Dbstudy (토론 | 기여) (새 문서: == Oracle Hash Join의 내부 구조== * 해시 버킷의 저장 구조 === 해시 버킷에 저장되는 내용 === * 해시 버킷에는 '''주소 정보가 아닌 실제 데이터 행(row data)''' 이 저장됩니다. <source lang=python> # 해시 테이블 구조: #[해시 버킷 배열] Bucket 0 → [emp_id=101, name='김철수', dept_id=10] → [emp_id=501, name='이영희', dept_id=10] → NULL Bucket 1 → [emp_id=202, name='박민수', dept_id=20] → NULL Bucket...)
(최신 | 오래됨) (다음 50개 | ) (20 | 50 | 100 | 250 | 500)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