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B스터디에서 사용할 수 있는 모든 기록이 표시됩니다. 기록 종류나 사용자 이름(대소문자 구별) 또는 영향을 받는 문서(대소문자 구별)를 선택하여 범위를 좁혀서 살펴볼 수 있습니다.
- 2025년 8월 12일 (화) 23:48 Dbstudy 토론 기여님이 패키지 문서를 삭제했습니다 (내용: "* Oracle 19c에서의 **패키지(Package)**는 관련된 **PL/SQL 객체들(프로시저, 함수, 변수 등)**을 하나로 묶어 모듈화된 구조로 제공하는 기능입니다. * 이를 통해 코드의 재사용성, 유지보수성, 성능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요점 |내용= Oracle 19c 패키지 설명 * (영문) Package = 꾸러미, 묶음 → 관련된...". 유일한 편집자는 "Oracle" (토론))
- 2025년 8월 12일 (화) 23:47 Dbstudy 토론 기여님이 프로시져 문서를 삭제했습니다 (내용: "Oracle PL/SQL 프로시저 설명 === 1. 개념 === * **프로시저(Procedure)**는 특정 작업을 수행하는 PL/SQL 서브프로그램입니다. * 함수와 달리 프로시저는 값을 반환하지 않으며, 주로 반복되는 작업이나 다양한 기능을 묶어두는 데 사용됩니다. * 입력 매개변수를 받아서 로직을 처리한 후, 결과는 출력 매개변...". 유일한 편집자는 "Oracle" (토론))
- 2025년 8월 12일 (화) 23:47 Dbstudy 토론 기여님이 함수 문서를 삭제했습니다 (내용: "=== Oracle PL/SQL 함수 설명=== ==== 개념 요약 ==== * 함수(Function)는 하나의 값을 반환하는 PL/SQL 서브프로그램입니다. * 프로시저(Procedure)와 달리, 함수는 항상 RETURN을 통해 결과를 반환해야 하며, SQL문 안에서도 호출이 가능합니다. ==== 주요 특징 ==== * 반드시 하나의 값 반환 * SELECT문, WHERE절, PL/SQL 블록...". 유일한 편집자는 "Oracle" (토론))
- 2025년 8월 12일 (화) 23:47 Dbstudy 토론 기여님이 PL/SQL 기초 문서를 삭제했습니다 (내용: " === PL/SQL 기초 === {{난이도 |제목=학습단계 : 2단계 |별2=2 }} * Oracle의 PL/SQL은 Procedural Language extensions to SQL의 약자로, SQL에 절차적 프로그래밍 기능을 추가한 Oracle의 고유한 프로그래밍 언어입니다. * SQL은 단순한 질의와 조작에 적합하지만, 복잡한 로직(조건문, 반복문 등)은 어렵기 때문에 이를 보...". 유일한 편집자는 "Oracle" (토론))
- 2025년 8월 12일 (화) 23:47 Dbstudy 토론 기여님이 LATERAL 문서를 삭제했습니다 (내용: " === LATERAL 이란? === {{요점 |내용= LATERAL이란? * (영문)The LATERAL clause allows a subquery in the FROM clause to reference columns from preceding tables in the same FROM clause. * (한글) LATERAL은 FROM 절에 있는 서브쿼리에서 같은 레벨에 있는 테이블의 컬럼을 사용할 수 있게 해주는 기능입니다.(oracle12c 이전에는 FROM절에 있는...". 유일한 편집자는 "Oracle" (토론))
- 2025년 8월 12일 (화) 23:46 Dbstudy 토론 기여님이 그룹 함수 문서를 삭제했습니다 (내용: " {{요점 |내용= 기본 개념 설명 * Oracle SQL에서 '''그룹 함수(Group Functions)'''는 여러 행(Row)의 값을 그룹으로 묶어 하나의 결과 값으로 요약할 때 사용하는 함수입니다. * 주로 GROUP BY절과 함께 사용되며, '''집계 함수(Aggregate Functions)'''라고도 부릅니다. }} ===Oracle의 주요 그룹 함수 종류=== {| class="wikitab...". 유일한 편집자는 "Oracle" (토론))
- 2025년 8월 12일 (화) 23:46 Dbstudy 토론 기여님이 집계함수 (aggregate function) 문서를 삭제했습니다 (내용: " == 오라클 집계함수 == {{요점 |내용=집계함수란 무엇인가? * 집계함수는 여러 행의 데이터를 한 개의 결과값으로 요약해주는 함수입니다. * 마치 엑셀에서 합계나 평균을 구하는 것과 비슷한 개념입니다. }} * 다음은 오라클 데이터베이스에서 사용하는 주요 집계 함수 입니다. {| class="wikitable" |- ! 함수 !! 설명 !! 사용 예제 !! 결과 예시 !! 주의사항 |- | '''COUNT''' || 행의...")
- 2025년 8월 12일 (화) 23:45 Dbstudy 토론 기여님이 오라클 내부함수 문서를 삭제했습니다 (내용: "좋아요! Oracle 19c에서 자주 사용하는 내장 함수들을 카테고리별로 예제 중심으로 설명드릴게요. 문서는 MediaWiki 문법으로 작성되었으며, 함수 이름, 간단한 설명, 예제 쿼리, 결과까지 포함했습니다. 아래 형식으로 제공드릴게요: ⸻ == Oracle 19c 주요 내장 함수 예제 == === 문자열 함수 === {| class="w...". 유일한 편집자는 "Oracle" (토론))
- 2025년 8월 12일 (화) 23:44 Dbstudy 토론 기여님이 TRUNCATE TABLE 구문 문서를 삭제했습니다 (내용: " == 개요 == '''TRUNCATE TABLE'''은 오라클 데이터베이스에서 테이블의 모든 데이터를 빠르게 삭제하는 DDL(Data Definition Language) 명령어입니다. DELETE 문과 달리 테이블 구조는 유지하면서 데이터만 완전히 제거합니다. == 주요 특징 == * 테이블의 '''모든 행을 즉시 삭제''' * 테이블 구조는 그대로 유지 (컬...". 유일한 편집자는 "Oracle" (토론))
- 2025년 8월 12일 (화) 23:44 Dbstudy 토론 기여님이 DROP TABLE 구문 문서를 삭제했습니다 (내용: "{{난이도 |제목=학습단계 : 1단계 |별1=1 }} == 개요 == '''DROP TABLE'''은 오라클 데이터베이스에서 테이블과 그 테이블에 포함된 모든 데이터를 완전히 삭제하는 DDL(Data Definition Language) 명령어입니다. 테이블 구조와 데이터를 영구적으로 제거할 때 사용합니다. == 기본 구문 == <source lang=sql> DROP TABLE [sche...". 유일한 편집자는 "Oracle" (토론))
- 2025년 8월 12일 (화) 23:43 Dbstudy 토론 기여님이 ALTER TABLE 구문 문서를 삭제했습니다 (내용: "# 오라클 ALTER TABLE 문 == 개요 == {{요점 |내용= '''ALTER TABLE'''은 오라클 데이터베이스에서 기존 테이블의 구조를 변경하는 DDL(Data Definition Language) 명령어입니다. : 테이블 생성 후 다양한 수정 작업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 == 주요 기능 == * 컬럼 추가/삭제/수정 * 제약조건 추가/삭제/활성화/비활성...". 유일한 편집자는 "Oracle" (토론))
- 2025년 8월 12일 (화) 23:43 Dbstudy 토론 기여님이 CREATE TABLE 구문 문서를 삭제했습니다 (내용: "== 테이블 생성 == ''' 생성 예시:''' <source lang=sql> CREATE TABLE "SYS"."TB_BIG" -- 컬럼 / 제약조건 정의 ( "COLA" VARCHAR2(20), "COLB" NUMBER, "COLC" NUMBER, "COLD" VARCHAR2(30) -- [ 생략 가능 , PK인덱스를 동시에 생성 CONSTRAINT PK명 PRIMARY KEY (column1) USING INDEX TABLESPACE index_tablespace_name -- ] ) -- [ ]...". 유일한 편집자는 "Oracle" (토론))
- 2025년 8월 12일 (화) 23:43 Dbstudy 토론 기여님이 MERGE 구문 문서를 삭제했습니다 (내용: "=== MERGE 구문 === {{난이도 |제목=학습단계 : 2단계 |별2=2 }} * MERGE는 특히 ETL 작업, 데이터 동기화, UPSERT 작업에서 많이 사용돼요. {{요점 |내용= MERGE란? * (영문): The MERGE statement allows you to conditionally insert or update data in a target table based on the results of a join with a source table. * (한글): MERGE는 하나의 SQL 문으...". 유일한 편집자는 "Oracle" (토론))
- 2025년 8월 12일 (화) 23:43 Dbstudy 토론 기여님이 DELETE 구문 문서를 삭제했습니다 (내용: "== 오라클 DELETE 문 == {{난이도 |제목=학습단계 : 1단계 |별1=1 }} === 개요 === {{요점 |내용= '''DELETE''' 문은 오라클 데이터베이스에서 테이블의 데이터 행을 제거하는 데 사용되는 DML(Data Manipulation Language) 명령어입니다. 조건에 맞는 특정 행들만 삭제하거나, 테이블의 모든 데이터를 삭제할 수 있습니다...". 유일한 편집자는 "Oracle" (토론))
- 2025년 8월 12일 (화) 23:43 Dbstudy 토론 기여님이 UPDATE 구문 문서를 삭제했습니다 (내용: "=== 기본 UPDATE 문법 === {{난이도 |제목=학습단계 : 1단계 |별1=1 }} UPDATE는 기존 데이터를 수정할 때 사용하는 명령어입니다. ==== ▶ 기본 문법: ==== <source lang=sql> UPDATE 테이블명 SET 컬럼1 = 값1, 컬럼2 = 값2, ... WHERE 조건; </source> * SET: 변경하고 싶은 컬럼과 값을 지정합니다. * WHERE: 어떤 행(row)을 수정...". 유일한 편집자는 "Oracle" (토론))
- 2025년 8월 12일 (화) 23:42 Dbstudy 토론 기여님이 INSERT 구문 문서를 삭제했습니다 (내용: "== INSERT 구문 == {{난이도 |제목=학습단계 : 1단계 |별1=1 }} {{요점 |내용= 기본 개념 설명 * INSERT 구문은 테이블에 새로운 데이터를 추가할 때 사용됩니다. }} === 기본 문법 === <source lang=sql> INSERT INTO 테이블명 (컬럼1, 컬럼2, ...) VALUES (값1, 값2, ...); </source> * INSERT INTO: 데이터를 추가할 테이블명을 지정...". 유일한 편집자는 "Oracle" (토론))
- 2025년 8월 12일 (화) 23:42 Dbstudy 토론 기여님이 WITH 절 문서를 삭제했습니다 (내용: "=== WITH 절 (CTE)=== {{요점 |내용= WITH 절이란? * (영문)The WITH clause lets you define a temporary result set (also called a CTE: Common Table Expression) that you can refer to within your main query. * (한글)WITH 절은 *임시 테이블(=서브쿼리 결과)을 먼저 정의하고, 그걸 메인 쿼리에서 재사용할 수 있게 해주는 문법이에요.또한, CTE 라...". 유일한 편집자는 "Oracle" (토론))
- 2025년 8월 12일 (화) 23:42 Dbstudy 토론 기여님이 SQL 조인 문서를 삭제했습니다 (내용: " === Oracle 테이블 조인 (Table Join) === {{요점 |내용=조인이란? > 여러 테이블에서 관련된 데이터를 **하나의 결과로 결합**해서 보여주는 SQL 기능입니다. 예: 직원 정보는 `EMPLOYEES`, 부서 정보는 `DEPARTMENTS`에 있을 때 👉 직원 이름 + 부서 이름을 함께 보여주고 싶을 때 조인을 사용합니다. }} ---- ==== 예제 테이블 ==== <source lang=sql> -- EMPLOYEES 테이블 | EMP_ID | NAME | DEPT_ID | |----...")
- 2025년 8월 12일 (화) 23:42 Dbstudy 토론 기여님이 GROUP BY 절 문서를 삭제했습니다 (내용: "=== GROUP BY 절 === {{요점 |내용= GROUP BY 절이란? * (영문): GROUP BY is used to group rows that have the same values in specified columns into summary rows. * (한글): GROUP BY는 특정 컬럼 값을 기준으로 같은 값들끼리 묶어서 결과를 보여주는 SQL 절입니다. }} === 특징 === 집계 함수(예: COUNT(), SUM(), AVG(), MAX(), MIN())와 함께 자주...". 유일한 편집자는 "Oracle" (토론))
- 2025년 8월 12일 (화) 23:41 Dbstudy 토론 기여님이 SELECT 구문 문서를 삭제했습니다 (내용: "=== SELECT 기본 구문 === {{난이도 |제목=학습단계 : 1단계 |별1=1 }} {| class="wikitable" ! style="border-right: 1px solid #aaa; padding: 5px;" | 명령어 !! 설명 |- | style="border-right: 1px solid #aaa; padding: 5px;" | SELECT | 테이블에 있는 속성을 지정하여 데이터를 조회하는 명령어 (주로 속성(컬럼)을 기술) |- | style="border-right: 1p...". 유일한 편집자는 "Oracle" (토론))
- 2025년 8월 12일 (화) 23:41 Dbstudy 토론 기여님이 테이블 생성 과 데이터입력 문서를 삭제했습니다 (내용: "* <big>'''테스트용 테이블 생성 및 관련 데이터 입력 SQL '''</big> ** employees : 사원 테이블 ** sales : 판매 테이블 ** customers : 고객 테이블 ** orders : 주문 테이블 ** students : 학생 테이블 ---- * `employees` 사원 테이블 생성 ::<source lang=sql> CREATE TABLE employees ( employee_id NUMBER PRIMARY KEY, department_id N...". 유일한 편집자는 "Oracle" (토론))
- 2025년 8월 12일 (화) 23:40 Dbstudy 토론 기여님이 테이블 컬럼 데이터 유형 문서를 삭제했습니다 (내용: "=== 데이터 유형 === {{난이도 |제목=학습단계 : 1단계 |별1=1 }} {| class="wikitable" style="border-collapse: collapse; width: 100%; font-size: 14px;" |- ! style="border-right: 1px solid #e0e0e0; padding: 10px; text-align: left; background: #f8f9fa;" | 데이터 유형 ! style="border-right: 1px solid #e0e0e0; padding: 10px; text-align: left; background: #f8f9fa;" | 설명 ! style="padding: 10px; text-align: left; background: #f8f9fa;" | 예시 |- | style="border-right...")
- 2025년 8월 12일 (화) 23:40 Dbstudy 토론 기여님이 데이터 베이스 용어 설명 문서를 삭제했습니다 (내용: " __toc__ {{난이도 |제목=학습단계 : 1단계 |별1=1 }} ===데이터 베이스 기본 용어=== # '''데이터베이스 (Database, DB)''' #:* 데이터를 체계적으로 저장하고 관리하는 시스템 #:* 단순히 정보를 모아놓는 것 이상으로, 효율적인 검색, 수정, 삭제 등이 가능 # '''데이터 (Data)''' #:* 현실 세계의 사실이나 값을 기...". 유일한 편집자는 "Oracle" (토론))
- 2025년 8월 12일 (화) 23:39 Dbstudy 토론 기여님이 ORACLE SQL 30일 학습 문서를 삭제했습니다 (내용: "= 30일간의 SQL 기초 학습 = == SQL 30일 학습 묻고답하기(FAQ) == <WikiForumThread id=1 replies=true /> {{틀:중요 |제목=오라클 설치는 오라클 설치(도커 이용) 를 참조 }} ---- == 1일차 - SQL 기본 == {{:데이터 베이스 용어 설명}} ---- == 2일차 - SELECT 구문 사용법 == {{:SELECT 구문}} ---- == 3일차 - SELECT 구문 - WITH절 == {{:WITH 절}} ---- ==...")
- 2025년 8월 12일 (화) 23:35 Oracle 토론 기여님이 오라클 초보자 학습과정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__notoc__ https://dbstudy.co.kr/w/resources/assets/dbstudy_iconx1.png = Welcome To DB STUDY - {{CURRENTYEAR}}.{{CURRENTMONTHNAME}}.{{CURRENTDAY}}({{CURRENTDAYNAME}}) = * {{SERVER}} * 게시글 총 : {{NUMBEROFPAGES}} 건 , 사용자 : {{NUMBEROFUSERS}} 명 , <p sizes="(max-width: 600px) 480px,800px"> https://dbstudy.co.kr/w/images/dbstudy_logo.jpg </p> {{틀:타이틀 라운드 |제목=오라클: {{PAGESINCATEGORY: oracle}} 건 , :Category:postgresql|Po...)
- 2025년 8월 8일 (금) 23:51 Dbstudy 토론 기여 사용자 새 포럼, SQL. 튜닝 묻고 답하기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SQL 튜닝관련 묻고 답하기 게시판.)
- 2025년 8월 8일 (금) 14:44 Oracle 토론 기여님이 MERGE 조인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 MERGE 조인 == * 정확한 명칭은 'MERGE JOIN' 또는 'SORT MERGE JOIN') * SORT(정렬) 후 MERGE(합치다) 의 의미 --- === MERGE 조인이 필요한 경우 === # 조인에 사용되는 양쪽 테이블이 이미 정렬되어 있거나, 정렬 비용이 크지 않은 경우 # 대량의 데이터에 대해 효율적인 조인이 필요할 때 === MERGE 조인 동작 원리 === # 조인에 참여하는 두 테이블의 조인 컬럼을 기준으로 정렬(sorting)....)
- 2025년 8월 8일 (금) 14:25 Oracle 토론 기여님이 HASH조인 성능저하 파이썬 예제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 해시조인 “문제 상황” 퍼이썬으로 재현 == * 두 가지 시나리오를 비교 *:- 시나리오 A(정상): 적정 버킷 수 + 고르게 분포된 키 *:- 시나리오 B(문제): 너무 적은 버킷 수 + 편향된 키(핫 키 집중) * 핵심 포인트는 “버킷 과밀 → 체인 길이 급증 → 조인 탐색 시간 증가”를 눈으로 확인하는 것입니다. <source lang=python> import random import time from collections import defaultdict, Coun...)
- 2025년 8월 8일 (금) 13:58 Oracle 토론 기여님이 테이블 조인 방식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NL 조인}} ---- {{:HASH 조인}} ---- {{:MERGE 조인}})
- 2025년 8월 8일 (금) 08:13 Oracle 토론 기여님이 HASH 조인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 해시 조인(Hash Join) == # 해시 조인(Hash Join)은 두 개의 테이블을 조인할 때, 더 작은 테이블을 메모리에 올리고 해시 테이블을 만들어 효율적으로 조인하는 방식 # 대용량 테이블을 조인할 때 주로 사용되며, 조인 조건에 인덱스가 없는 경우에도 빠르게 작동 === 해시 조인의 원리 === * 해시 조인은 크게 두 단계로 나뉩니다. # 빌드 단계 (Build Phase): ## 옵티마이저는 두...)
- 2025년 8월 7일 (목) 21:36 Oracle 토론 기여님이 테스트 템플릿만들기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오라클 DBA |Oracle INSERT 구문 |1단계 |* INSERT 구문은 테이블에 새로운 데이터를 추가할 때 사용됩니다. |INSERT INTO 테이블명 (컬럼1, 컬럼2) VALUES (값1, 값2); |INSERT INTO employees (id, name) VALUES (1, 'Alice'); |알았어, 다음에 또 봐 |그래, 다음에 또 봐 |oracle }})
- 2025년 8월 7일 (목) 21:33 Oracle 토론 기여님이 틀:오라클 DBA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noinclude> 설명: SQL 기본 개념을 설명하는 템플릿입니다. 사용법: {{SQL 기본개념 |제목= |난이도= |요점= |사용법= |예제= |결론= |카테고리= }} </noinclude><includeonly> == {{{1|제목}}} == {{난이도 |제목=학습단계 : {{{2|난이도}}} |별1=1 }} {{요점 |내용= {{{3|요점}}} }} === 사용법 === {{{4|사용법}}} === 예제 === {{{5|예제}}} === 결론 === {{결론 |제목={{{6|결론 제목}}} |내용={{{7|결론 내용}}}...)
- 2025년 8월 7일 (목) 18:55 Oracle 토론 기여님이 Rowid 를 이용한 조인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 ROWID를 이용한 조인으로 SQL 튜닝 == # large_table과 small_table이라는 두 테이블을 조인하는 상황 # large_table에서 small_table의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데이터를 찾을 때, ROWID를 사용하면 물리적인 위치를 직접 참조하여 논리적인 인덱스 스캔보다 효율적일 수 있습니다. <source lang=sql> SELECT t1.column1, t1.column2, t2.column_a FROM large_table t1 WHERE t1.rowid IN ( SELECT...)
- 2025년 8월 6일 (수) 22:20 Oracle 토론 기여님이 NL 조인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 NL(Nested Loop) 조인 === ==== Nested Loop Join 의 개념 ==== {{틀:개념 |제목=NL 조인의 개념 |내용=* 중첩된(Nested) + 반복(Loop) + 연결(Join) :# 두개 이상의 테이블에서, 하나의 집합을 기준으로 순차적으로 상대방 테이블의 row 를 결합하여 원하는 결과를 추출하는 테이블 연결 방식 :# 결합하기 위해 기준이 되는 테이블(선행테이블=드라이빙 테이블=outer테이블) : driving 테이블( O...)
- 2025년 8월 6일 (수) 22:14 Oracle 토론 기여님이 SQL 조인 방식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 SQL 조인 방식 == {{:NL 조인|NL조인 (Nested Loop) }} ---- {{:해시 조인 HASH|해시조인 (Hash) }} ---- {{:SORT MERGE 조인|소트머지조인 (Sort Merge) }} ---- {{:조인별 튜닝 포인트 }}) 태그: 시각 편집: 전환됨
- 2025년 7월 28일 (월) 13:41 Oracle 토론 기여님이 전개 단계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 전개 단계 === ==== 산출물 ==== # 운영자 매뉴얼 ==== 주요 작업 TASK ==== # 데이터 이관 사전/사후 작업 # 이행후점검및운영 DB 전환)
- 2025년 7월 28일 (월) 13:40 Oracle 토론 기여님이 테스트 단계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 테스트 단계 === ==== 산출물 ==== # 가용성 테스트 결과서 # 복구 테스트 결과서 # 튜닝결과서 # 인스펙션 결과서(선택) ==== 주요 작업 TASK ==== # 데이터 이관 지원 # SQL 튜닝 (튜너) # 성능 모니터링 # 성능 테스트 지원 # 가용성 테스트 # 백업복구테스트)
- 2025년 7월 28일 (월) 13:40 Oracle 토론 기여님이 구축 단계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 구축 단계 === ==== 산출물 ==== # SQL 작성 가이드 ## 별첨)SQL작성가이드-DB아키텍처_DB접속정보.pptx ==== 주요 작업 TASK ==== # 물리모델반영및 변경관리 # 오브젝트 관리 # 통합테스트 환경구성 # 가용성 테스트 시나리오 작성 # 백업복구테스트 시나리오 작성)
- 2025년 7월 28일 (월) 13:39 Oracle 토론 기여님이 설계 단계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 설계 단계 === ==== 산출물 ==== # 명명규칙 정의서 # 데이터베이스 설계서((표준/구조/용량/보안 /백업 복구 설계 등) ## 데이터베이스설계서-DB아키텍처-별첨1.DB상세설계내역.xlsx ==== 주요 작업 TASK ==== # 시스템 작업(OS, DISK, DB 파라미터, 리두로그그룹 등) # DB설치 계획서(설치위치,인스턴스명 등) # 초기파라미터 및 용량 산정 # TO-BE 데이터...)
- 2025년 7월 28일 (월) 13:38 Oracle 토론 기여님이 분석 단계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 분석 단계 === ==== 산출물 ==== # 인터뷰 계획서 # 인터뷰 결과서 # 요구사항 정의서 # 현행 시스템 분석서 ## 별첨1)현행시스템분석서-DB아키텍처)-별첨1-현행_데이터파일현황.xlsx ## 별첨2)현행시스템분석서-DB아키텍처)-별첨1-현행_테이블스페이스현황.xlsx # 아키텍처 정의서 ==== 주요 작업 TASK ==== # AS-IS 구조 분석 기술환경 파악 # 요구사항...)
- 2025년 7월 28일 (월) 13:37 Oracle 토론 기여님이 단계별 수행 방법론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 단계별 수행 방법론 == <htmltag tagname="iframe"frameborder="0" width="1024px" height="768px" src="https://viewer.diagrams.net/?tags=%7B%7D&lightbox=1&highlight=0000ff&edit=_blank&layers=1&nav=1&title=DBA%EB%8B%A8%EA%B3%84%EB%B3%84TASK%EC%99%80%EC%82%B0%EC%B6%9C%EB%AC%BC.drawio.png&transparent=1&dark=auto#R%3Cmxfile%3E%3Cdiagram%20name%3D%22%ED%8E%98%EC%9D%B4%EC%A7%80-1%22%20id%3D%22oy2hg6EIWq2iBE1s1H2V%22%3E7Vttb9s2EP41BLYPHSTrxeJHUXLabh2K1gUK7MugxqotTJEMmWmS%2Fvrd8UX...)
- 2025년 7월 28일 (월) 11:32 Oracle 토론 기여님이 튜닝결과서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 튜닝 결과서 == === SQL튜닝 목록 현황 === # 요청 정보 ## 순번 ## DB명 ## 프로그램 식별자 ID ## 업무 구분 (주제영역) ## 수집 유형 (모니터링/요청) ## 프로그램명(화면명/ID) ## 온라인/배치 구분 ## 수행빈도 (상시/일1회/월1회) ## 동적SQL여부(다이나믹SQL) ## 업무 담당자 ## 튜닝결과 === 인덱스 관리 대장 ===)
- 2025년 7월 28일 (월) 10:11 Oracle 토론 기여님이 틀:FAQ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div id="mp_goodArticle" class="mp_contentsboxtitle" style="background-color:#bbddff; margin: 1.2em 0 0.7em; padding: 0.2em 0.5em; font-size: 1.2em; line-height: 1.2em; overflow: visible; font-weight: bold; -moz-border-radius: 0.5em; -webkit-border-radius: 0.5em; border-radius: 0.5em;"> <font color="red"> <i class="material-icons icon-image-preview">{{{아이콘이름| live_help}}}</i></font> {{{제목|제목을 입력하세요}}} </div>)
- 2025년 7월 28일 (월) 01:09 Dbstudy 토론 기여님이 새 스레드인, DBA 수행 방법론 묻고답하기을(를) 만들었습니다 (DBA 수행 방법론 묻고답하기)
- 2025년 7월 28일 (월) 01:08 Dbstudy 토론 기여 사용자 새 포럼, DBA 수행 방법론 묻고답하기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DBA 수행 방법론 묻고답하기 게시판...)
- 2025년 7월 28일 (월) 01:08 Dbstudy 토론 기여님이 새 분류인, DBA 수행 방법론을(를) 만들었습니다
- 2025년 7월 28일 (월) 00:56 Dbstudy 토론 기여님이 새 스레드인, SQL 30일 학습 묻고 답하기 게시판입니다.을(를) 만들었습니다 (SQL 30일 학습 묻고 답하기 게시판입...)
- 2025년 7월 28일 (월) 00:53 Dbstudy 토론 기여 사용자 새 포럼, SQL 30일 학습 묻고 답하기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SQL 30일 학습 묻고 답하기)
- 2025년 7월 28일 (월) 00:52 Dbstudy 토론 기여님이 새 분류인, SQL 30일 학습을(를) 만들었습니다
- 2025년 7월 28일 (월) 00:50 Dbstudy 토론 기여님이 새 분류인, ORACLE을(를) 만들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