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요약 없음 |
편집 요약 없음 |
||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10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__NUMBEREDHEADINGS__ | __NUMBEREDHEADINGS__ | ||
== 마인드맵 == | == 마인드맵 == | ||
< | <htmltag tagname="iframe" src="https://xmind.app/mindmap/R명령어/Gwi6/" width="300" height="300"></htmltag> | ||
<htmltag tagname="iframe" src="http://en.wikipedia.org/wiki/Antarctica/">Read about Antarctica</htmltag> | |||
== 표 만들기 == | <htmltag tagname="iframe" src='https://www.xmind.app/embed/7yvw/' width='1000' height='500' frameborder='0' scrolling='no' allowfullscreen="true"></iframe></htmltag> | ||
<htmltag tagname="iframe" src='https://www.xmind.app/embed/Gwi6/' width='750' height='1000' frameborder='0' scrolling='no' allowfullscreen="true"></iframe></htmltag> | |||
<htmltag tagname="iframe" src='https://www.xmind.app/embed/g3XgtJ/' width='750' height='422' frameborder='0' scrolling='no' allowfullscreen="true"></iframe></htmltag> | |||
==표 만들기== | |||
{| class="wikitable" style="width: 80%; text-align: center; margin-top: 20px;" | {| class="wikitable" style="width: 80%; text-align: center; margin-top: 20px;" | ||
|+ '''동기화 작업 요약''' | |+'''동기화 작업 요약''' | ||
|- | |- | ||
! style="width: 15%; background: #f8f8f8;" | emp_id | ! style="width: 15%; background: #f8f8f8;" |emp_id | ||
! style="width: 20%; background: #f8f8f8;" | 작업 유형 | ! style="width: 20%; background: #f8f8f8;" |작업 유형 | ||
! style="width: 25%; background: #f8f8f8;" | name | ! style="width: 25%; background: #f8f8f8;" |name | ||
! style="width: 40%; background: #f8f8f8;" | salary 변경 내용 | ! style="width: 40%; background: #f8f8f8;" |salary 변경 내용 | ||
|- | |- | ||
| 1 || style="background: #ffdddd;" | DELETE || Alice || <span style="color: #ff0000;">3000 → 삭제</span> | | 1|| style="background: #ffdddd;" |DELETE||Alice||<span style="color: #ff0000;">3000 → 삭제</span> | ||
|- | |- | ||
| 2 || style="background: #ffffdd;" | UPDATE || Bob || <span style="color: #0000ff;">3200 → 3500</span> | |2|| style="background: #ffffdd;" |UPDATE||Bob||<span style="color: #0000ff;">3200 → 3500</span> | ||
|- | |- | ||
| 3 || style="background: #ddffdd;" | INSERT || Carol || <span style="color: #008000;">(신규) 2800</span> | |3|| style="background: #ddffdd;" |INSERT||Carol||<span style="color: #008000;">(신규) 2800</span> | ||
|} | |} | ||
미디어위키에서 구분선이 있는 표를 만들려면 `border` 속성을 사용하거나 CSS 스타일을 적용하면 됩니다. 다음은 두 가지 방법을 보여주는 예제입니다: | 미디어위키에서 구분선이 있는 표를 만들려면 `border` 속성을 사용하거나 CSS 스타일을 적용하면 됩니다. 다음은 두 가지 방법을 보여주는 예제입니다: | ||
### 방법 1: 기본 `border` 속성 사용 | ###방법 1: 기본 `border` 속성 사용 | ||
{| class="wikitable" border="1" | {| class="wikitable" border="1" | ||
|- | |- | ||
! Header 1 !! Header 2 !! Header 3 | !Header 1!!Header 2!!Header 3 | ||
|- | |- | ||
| Cell 1 || Cell 2 || Cell 3 | | Cell 1||Cell 2||Cell 3 | ||
|- | |- | ||
| Cell 4 || Cell 5 || Cell 6 | |Cell 4 ||Cell 5 ||Cell 6 | ||
|} | |} | ||
<source lang=js> | <source lang="js"> | ||
{| class="wikitable" border="1" | {| class="wikitable" border="1" | ||
|- | |- | ||
41번째 줄: | 44번째 줄: | ||
| Cell 4 || Cell 5 || Cell 6 | | Cell 4 || Cell 5 || Cell 6 | ||
|} | |} | ||
</source> | </source> | ||
### 방법 2: CSS 스타일 적용 (더 세밀한 조절 가능) | ###방법 2: CSS 스타일 적용 (더 세밀한 조절 가능) | ||
{| class="wikitable" style="border-collapse: collapse;" | {| class="wikitable" style="border-collapse: collapse;" | ||
|- | |- | ||
! style="border-right: 1px solid #aaa; padding: 5px;" | Header 1 | ! style="border-right: 1px solid #aaa; padding: 5px;" |Header 1 | ||
! style="border-right: 1px solid #aaa; padding: 5px;" | Header 2 | ! style="border-right: 1px solid #aaa; padding: 5px;" |Header 2 | ||
! style="padding: 5px;" | Header 3 | ! style="padding: 5px;" | Header 3 | ||
|- | |- | ||
| style="border-right: 1px solid #aaa; padding: 5px;" | Cell 1 | | style="border-right: 1px solid #aaa; padding: 5px;" |Cell 1 | ||
| style="border-right: 1px solid #aaa; padding: 5px;" | Cell 2 | | style="border-right: 1px solid #aaa; padding: 5px;" |Cell 2 | ||
| style="padding: 5px;" | Cell 3 | | style="padding: 5px;" | Cell 3 | ||
|- | |- | ||
| style="border-right: 1px solid #aaa; padding: 5px;" | Cell 4 | | style="border-right: 1px solid #aaa; padding: 5px;" |Cell 4 | ||
| style="border-right: 1px solid #aaa; padding: 5px;" | Cell 5 | | style="border-right: 1px solid #aaa; padding: 5px;" |Cell 5 | ||
| style="padding: 5px;" | Cell 6 | | style="padding: 5px;" | Cell 6 | ||
|} | |} | ||
<source lang=js> | <source lang="js"> | ||
{| class="wikitable" style="border-collapse: collapse;" | {| class="wikitable" style="border-collapse: collapse;" | ||
|- | |- | ||
82번째 줄: | 85번째 줄: | ||
{| class="wikitable" style="border-collapse: collapse;" | {| class="wikitable" style="border-collapse: collapse;" | ||
|- | |- | ||
! style="border-right: 1px solid #aaa; padding: 5px;" | Header 1 | ! style="border-right: 1px solid #aaa; padding: 5px;" |Header 1 | ||
! style="border-right: 1px solid #aaa; padding: 5px;" | Header 2 | ! style="border-right: 1px solid #aaa; padding: 5px;" |Header 2 | ||
! style="padding: 5px;" | Header 3 | ! style="padding: 5px;" | Header 3 | ||
|- | |- | ||
| style="border-right: 1px solid #aaa; padding: 5px;" | Cell 1 | | style="border-right: 1px solid #aaa; padding: 5px;" |Cell 1 | ||
| style="border-right: 1px solid #aaa; padding: 5px;" | Cell 2 | | style="border-right: 1px solid #aaa; padding: 5px;" |Cell 2 | ||
| style="padding: 5px;" | Cell 3 | | style="padding: 5px;" | Cell 3 | ||
|- | |- | ||
| style="border-right: 1px solid #aaa; padding: 5px;" | Cell 4 | | style="border-right: 1px solid #aaa; padding: 5px;" |Cell 4 | ||
| style="border-right: 1px solid #aaa; padding: 5px;" | Cell 5 | | style="border-right: 1px solid #aaa; padding: 5px;" |Cell 5 | ||
| style="padding: 5px;" | Cell 6 | | style="padding: 5px;" | Cell 6 | ||
|} | |} | ||
### 사용자 정의 팁: | ###사용자 정의 팁: | ||
1. `#aaa`는 회색 계열의 색상 코드입니다. 원하는 색상으로 변경 가능합니다. | 1. `#aaa`는 회색 계열의 색상 코드입니다. 원하는 색상으로 변경 가능합니다. | ||
2. `padding` 값으로 셀 내부 여백을 조절할 수 있습니다. | 2. `padding` 값으로 셀 내부 여백을 조절할 수 있습니다. | ||
103번째 줄: | 106번째 줄: | ||
---- | ---- | ||
== 하나 == | ==하나== | ||
<syntaxhighlight> | <syntaxhighlight> | ||
<?php | <?php | ||
// some php code | // some php code | ||
</syntaxhighlight> | </syntaxhighlight> | ||
=== 둘 === | === 둘=== | ||
120번째 줄: | 123번째 줄: | ||
{| class="wikitable" | {| class="wikitable" | ||
! 이모지 || 의미/용도 || 설명 | !이모지 ||의미/용도||설명 | ||
|- | |- | ||
| 📌 || 포인트, 핵심, 주제 || 중요한 개념이나 문서 중심 내용 표시 | |📌||포인트, 핵심, 주제||중요한 개념이나 문서 중심 내용 표시 | ||
|- | |- | ||
| 🔍 || 검색, 탐색, 세부정보 || 특정 정보나 쿼리 결과를 설명할 때 | |🔍||검색, 탐색, 세부정보||특정 정보나 쿼리 결과를 설명할 때 | ||
|- | |- | ||
| ✅ || 확인됨, 성공 || 정상 수행, 성공적으로 완료된 작업 등 | |✅||확인됨, 성공||정상 수행, 성공적으로 완료된 작업 등 | ||
|- | |- | ||
| ❌ || 실패, 오류 || 오류 메시지, 잘못된 예시 표시 | |❌ ||실패, 오류||오류 메시지, 잘못된 예시 표시 | ||
|- | |- | ||
| ⚠️ || 경고, 주의 || 실수하기 쉬운 부분, 유의사항 안내 | |⚠️||경고, 주의||실수하기 쉬운 부분, 유의사항 안내 | ||
|- | |- | ||
| 📘 || 예시, 샘플 코드 || 코드나 문법 예시 앞에 붙임 | |📘 ||예시, 샘플 코드||코드나 문법 예시 앞에 붙임 | ||
|- | |- | ||
| 📖 || 설명, 문서 || 이론 설명, 정의, 배경지식 설명 | |📖||설명, 문서||이론 설명, 정의, 배경지식 설명 | ||
|- | |- | ||
| 💡 || 팁, 힌트 || 실무 팁, 성능 향상 방법, 유용한 정보 | |💡 ||팁, 힌트 ||실무 팁, 성능 향상 방법, 유용한 정보 | ||
|- | |- | ||
| 🔗 || 링크, 연관 항목 || 관련 문서나 외부 리소스 연결 안내 | |🔗|| 링크, 연관 항목||관련 문서나 외부 리소스 연결 안내 | ||
|- | |- | ||
| 🧠 || 이해 포인트 || 개념적 사고가 필요한 부분 강조 | |🧠||이해 포인트||개념적 사고가 필요한 부분 강조 | ||
|- | |- | ||
| 📊 || 통계, 분석 || 숫자, 결과 요약, 데이터 분석 표시에 사용 | |📊||통계, 분석||숫자, 결과 요약, 데이터 분석 표시에 사용 | ||
|- | |- | ||
| 🛠️ || 설정, 구성 || 설정 방법, 설치, 구성 관련 내용에 사용 | |🛠️ ||설정, 구성||설정 방법, 설치, 구성 관련 내용에 사용 | ||
|- | |- | ||
| 📝 || 작성, 정리 || 문서화, 필기할 포인트, 요약 강조 | |📝||작성, 정리||문서화, 필기할 포인트, 요약 강조 | ||
|- | |- | ||
| 🧪 || 실험, 테스트 || 테스트 사례, 시도해볼 쿼리 | |🧪||실험, 테스트||테스트 사례, 시도해볼 쿼리 | ||
|- | |- | ||
| 🚫 || 금지, 제한 || 사용하면 안 되는 방식, Deprecated 기능 | |🚫 ||금지, 제한||사용하면 안 되는 방식, Deprecated 기능 | ||
|- | |- | ||
| 🔄 || 반복, 순환 || 루프, 순환 구조, 반복 작업 안내 | |🔄||반복, 순환||루프, 순환 구조, 반복 작업 안내 | ||
|- | |- | ||
| ⏱️ || 시간, 성능 || 실행 시간, 성능 이슈 관련 강조 | |⏱️||시간, 성능||실행 시간, 성능 이슈 관련 강조 | ||
|} | |} | ||
{| class="wikitable sortable" | {| class="wikitable sortable" | ||
! 이모지 || 이름/의미 || 설명/용도 | !이모지||이름/의미||설명/용도 | ||
|- | |- | ||
| 📌 || 핀 || 핵심 개념, 주요 포인트 | |📌||핀||핵심 개념, 주요 포인트 | ||
|- | |- | ||
| 🔍 || 돋보기 || 검색, 조사, 상세 설명 | |🔍|| 돋보기||검색, 조사, 상세 설명 | ||
|- | |- | ||
| ✅ || 체크 || 성공, 확인됨, 정답 | |✅||체크||성공, 확인됨, 정답 | ||
|- | |- | ||
| ❌ || 엑스 || 실패, 오류, 잘못된 예시 | |❌||엑스||실패, 오류, 잘못된 예시 | ||
|- | |- | ||
| ⚠️ || 경고 || 주의, 위험 경고 | |⚠️||경고|| 주의, 위험 경고 | ||
|- | |- | ||
| 📘 || 파란 책 || 예제 코드, 샘플 | |📘||파란 책||예제 코드, 샘플 | ||
|- | |- | ||
| 📖 || 열린 책 || 설명, 백과사전식 문서 | |📖||열린 책||설명, 백과사전식 문서 | ||
|- | |- | ||
| 💡 || 전구 || 팁, 힌트, 유용한 정보 | | 💡||전구||팁, 힌트, 유용한 정보 | ||
|- | |- | ||
| 🔗 || 링크 || 관련 문서, 외부 링크 안내 | |🔗|| 링크||관련 문서, 외부 링크 안내 | ||
|- | |- | ||
| 🧠 || 뇌 || 이해, 개념, 사고 포인트 | |🧠||뇌||이해, 개념, 사고 포인트 | ||
|- | |- | ||
| 📊 || 막대그래프 || 통계, 데이터 분석 | |📊|| 막대그래프||통계, 데이터 분석 | ||
|- | |- | ||
| 📈 || 상승 그래프 || 성능 향상, 개선 | |📈|| 상승 그래프||성능 향상, 개선 | ||
|- | |- | ||
| 📉 || 하강 그래프 || 성능 저하, 리스크 | |📉||하강 그래프||성능 저하, 리스크 | ||
|- | |- | ||
| 🛠️ || 공구 || 설정, 도구, 구성 설명 | |🛠️||공구||설정, 도구, 구성 설명 | ||
|- | |- | ||
| 📝 || 메모 || 요약, 노트, 문서화 | |📝||메모||요약, 노트, 문서화 | ||
|- | |- | ||
| 🧪 || 실험 || 테스트, 시도, 실험 | |🧪||실험||테스트, 시도, 실험 | ||
|- | |- | ||
| 🚫 || 금지 || 하지 말아야 할 것, deprecated | |🚫||금지||하지 말아야 할 것, deprecated | ||
|- | |- | ||
| 🔄 || 리로드 || 반복, 루프, 순환 | |🔄 ||리로드||반복, 루프, 순환 | ||
|- | |- | ||
| ⏱️ || 스톱워치 || 성능, 시간 측정 | |⏱️|| 스톱워치||성능, 시간 측정 | ||
|- | |- | ||
| 🕒 || 시계 || 지연, 일정, 대기 | |🕒||시계||지연, 일정, 대기 | ||
|- | |- | ||
| 🧩 || 퍼즐 || 모듈, 구성 요소 | |🧩||퍼즐||모듈, 구성 요소 | ||
|- | |- | ||
| 🧾 || 영수증 || 로그, 출력 결과 | |🧾||영수증||로그, 출력 결과 | ||
|- | |- | ||
| 🗃️ || 카드 박스 || 데이터 저장소, 테이블 | |🗃️|| 카드 박스||데이터 저장소, 테이블 | ||
|- | |- | ||
| 📂 || 폴더 || 디렉토리, 구조 | |📂||폴더||디렉토리, 구조 | ||
|- | |- | ||
| 📦 || 박스 || 패키지, 라이브러리 | |📦||박스||패키지, 라이브러리 | ||
|- | |- | ||
| 📮 || 우체통 || 입력, 제출 | |📮||우체통||입력, 제출 | ||
|- | |- | ||
| 📤 || 아웃박스 || 출력, 전송 | |📤||아웃박스||출력, 전송 | ||
|- | |- | ||
| 🔐 || 자물쇠 || 보안, 인증, 접근 제한 | |🔐||자물쇠||보안, 인증, 접근 제한 | ||
|- | |- | ||
| 🧱 || 벽돌 || 빌드, 인프라 | |🧱||벽돌||빌드, 인프라 | ||
|- | |- | ||
| 🧰 || 도구상자 || 툴셋, 유틸리티 모음 | |🧰||도구상자||툴셋, 유틸리티 모음 | ||
|- | |- | ||
| 🖥️ || 컴퓨터 || 서버, 시스템 | |🖥️||컴퓨터||서버, 시스템 | ||
|- | |- | ||
| 💾 || 플로피 || 저장, 파일, 백업 | |💾||플로피||저장, 파일, 백업 | ||
|- | |- | ||
| 📡 || 안테나 || 네트워크, 통신 | |📡||안테나||네트워크, 통신 | ||
|- | |- | ||
| 🌐 || 지구본 || 웹, 인터넷, 글로벌 | |🌐||지구본||웹, 인터넷, 글로벌 | ||
|- | |- | ||
| 🔧 || 렌치 || 유지보수, 설정 | |🔧||렌치||유지보수, 설정 | ||
|- | |- | ||
| 🔋 || 배터리 || 자원, 리소스 상태 | |🔋||배터리||자원, 리소스 상태 | ||
|- | |- | ||
| 🧯 || 소화기 || 문제 해결, 에러 대응 | |🧯|| 소화기||문제 해결, 에러 대응 | ||
|- | |- | ||
| 📅 || 달력 || 일정, 데드라인 | |📅||달력||일정, 데드라인 | ||
|- | |- | ||
| 🪛 || 드라이버 || 수동 작업, 직접 수정 | |🪛||드라이버||수동 작업, 직접 수정 | ||
|- | |- | ||
| 📢 || 확성기 || 공지사항, 중요 알림 | |📢||확성기||공지사항, 중요 알림 | ||
|- | |- | ||
| 🪙 || 동전 || 비용, 결제, 라이선스 | |🪙||동전||비용, 결제, 라이선스 | ||
|- | |- | ||
| 🎯 || 다트 || 목표, 타겟, KPI | |🎯||다트||목표, 타겟, KPI | ||
|- | |- | ||
| 🧾 || 로그 || 기록, 로그 분석 | |🧾||로그 ||기록, 로그 분석 | ||
|} | |} | ||
==== 셋 ==== | ====셋==== | ||
===== 넷 ===== | =====넷===== | ||
== 하나 == | ==하나== | ||
=== 둘 === | ===둘 === | ||
==== 셋 ==== | ====셋==== | ||
===== 넷 ===== | =====넷===== | ||
== 하나 == | ==하나== | ||
== 하나 == | ==하나== | ||
If you have a very long (or intricately numbered) wiki page, you can use this extension to automatically insert section numbers (for example: 3.4 or 1.2.2.4) into the page using {{#secnum:n|section_title_goes_here}}. | If you have a very long (or intricately numbered) wiki page, you can use this extension to automatically insert section numbers (for example: 3.4 or 1.2.2.4) into the page using {{#secnum:n|section_title_goes_here}}. | ||
263번째 줄: | 266번째 줄: | ||
You can also use {{#secnum:Y|title_goes_here}} to add an auto incrementing variable to the end of the section number. Useful in creating numbered lists, like: | You can also use {{#secnum:Y|title_goes_here}} to add an auto incrementing variable to the end of the section number. Useful in creating numbered lists, like: | ||
* {{#secnum:Y|title #8}} It contains some more items. | *{{#secnum:Y|title #8}} It contains some more items. | ||
* {{#secnum:Y|title #8}} It contains some more items. | *{{#secnum:Y|title #8}} It contains some more items. | ||
* {{#secnum:Y|title #8}} It contains some more items. | *{{#secnum:Y|title #8}} It contains some more items. | ||
* {{#secnum:Y|title #8}} It contains some more items. | *{{#secnum:Y|title #8}} It contains some more items. | ||
* {{#secnum:Y|title #8}} It contains some more items. | *{{#secnum:Y|title #8}} It contains some more items. | ||
* {{#secnum:Y|title #8}} It contains some more items. | *{{#secnum:Y|title #8}} It contains some more items. | ||
2025년 7월 24일 (목) 13:12 기준 최신판
__NUMBEREDHEADINGS__
마인드맵
표 만들기
emp_id | 작업 유형 | name | salary 변경 내용 |
---|---|---|---|
1 | DELETE | Alice | 3000 → 삭제 |
2 | UPDATE | Bob | 3200 → 3500 |
3 | INSERT | Carol | (신규) 2800 |
미디어위키에서 구분선이 있는 표를 만들려면 `border` 속성을 사용하거나 CSS 스타일을 적용하면 됩니다. 다음은 두 가지 방법을 보여주는 예제입니다:
- 방법 1: 기본 `border` 속성 사용
Header 1 | Header 2 | Header 3 |
---|---|---|
Cell 1 | Cell 2 | Cell 3 |
Cell 4 | Cell 5 | Cell 6 |
{| class="wikitable" border="1" |- ! Header 1 !! Header 2 !! Header 3 |- | Cell 1 || Cell 2 || Cell 3 |- | Cell 4 || Cell 5 || Cell 6 |}
- 방법 2: CSS 스타일 적용 (더 세밀한 조절 가능)
Header 1 | Header 2 | Header 3 |
---|---|---|
Cell 1 | Cell 2 | Cell 3 |
Cell 4 | Cell 5 | Cell 6 |
{| class="wikitable" style="border-collapse: collapse;" |- ! style="border-right: 1px solid #aaa; padding: 5px;" | Header 1 ! style="border-right: 1px solid #aaa; padding: 5px;" | Header 2 ! style="padding: 5px;" | Header 3 |- | style="border-right: 1px solid #aaa; padding: 5px;" | Cell 1 | style="border-right: 1px solid #aaa; padding: 5px;" | Cell 2 | style="padding: 5px;" | Cell 3 |- | style="border-right: 1px solid #aaa; padding: 5px;" | Cell 4 | style="border-right: 1px solid #aaa; padding: 5px;" | Cell 5 | style="padding: 5px;" | Cell 6 |}
- 결과 예시:
Header 1 | Header 2 | Header 3 |
---|---|---|
Cell 1 | Cell 2 | Cell 3 |
Cell 4 | Cell 5 | Cell 6 |
- 사용자 정의 팁:
1. `#aaa`는 회색 계열의 색상 코드입니다. 원하는 색상으로 변경 가능합니다. 2. `padding` 값으로 셀 내부 여백을 조절할 수 있습니다. 3. 마지막 열의 구분선을 제거하려면 해당 셀의 `border-right` 속성을 제거하세요.
원하는 스타일에 따라 방법을 선택하시면 됩니다!
하나
<?php // some php code
둘
👉
📌
📘
✅
이모지 | 의미/용도 | 설명 |
---|---|---|
📌 | 포인트, 핵심, 주제 | 중요한 개념이나 문서 중심 내용 표시 |
🔍 | 검색, 탐색, 세부정보 | 특정 정보나 쿼리 결과를 설명할 때 |
✅ | 확인됨, 성공 | 정상 수행, 성공적으로 완료된 작업 등 |
❌ | 실패, 오류 | 오류 메시지, 잘못된 예시 표시 |
⚠️ | 경고, 주의 | 실수하기 쉬운 부분, 유의사항 안내 |
📘 | 예시, 샘플 코드 | 코드나 문법 예시 앞에 붙임 |
📖 | 설명, 문서 | 이론 설명, 정의, 배경지식 설명 |
💡 | 팁, 힌트 | 실무 팁, 성능 향상 방법, 유용한 정보 |
🔗 | 링크, 연관 항목 | 관련 문서나 외부 리소스 연결 안내 |
🧠 | 이해 포인트 | 개념적 사고가 필요한 부분 강조 |
📊 | 통계, 분석 | 숫자, 결과 요약, 데이터 분석 표시에 사용 |
🛠️ | 설정, 구성 | 설정 방법, 설치, 구성 관련 내용에 사용 |
📝 | 작성, 정리 | 문서화, 필기할 포인트, 요약 강조 |
🧪 | 실험, 테스트 | 테스트 사례, 시도해볼 쿼리 |
🚫 | 금지, 제한 | 사용하면 안 되는 방식, Deprecated 기능 |
🔄 | 반복, 순환 | 루프, 순환 구조, 반복 작업 안내 |
⏱️ | 시간, 성능 | 실행 시간, 성능 이슈 관련 강조 |
이모지 | 이름/의미 | 설명/용도 |
---|---|---|
📌 | 핀 | 핵심 개념, 주요 포인트 |
🔍 | 돋보기 | 검색, 조사, 상세 설명 |
✅ | 체크 | 성공, 확인됨, 정답 |
❌ | 엑스 | 실패, 오류, 잘못된 예시 |
⚠️ | 경고 | 주의, 위험 경고 |
📘 | 파란 책 | 예제 코드, 샘플 |
📖 | 열린 책 | 설명, 백과사전식 문서 |
💡 | 전구 | 팁, 힌트, 유용한 정보 |
🔗 | 링크 | 관련 문서, 외부 링크 안내 |
🧠 | 뇌 | 이해, 개념, 사고 포인트 |
📊 | 막대그래프 | 통계, 데이터 분석 |
📈 | 상승 그래프 | 성능 향상, 개선 |
📉 | 하강 그래프 | 성능 저하, 리스크 |
🛠️ | 공구 | 설정, 도구, 구성 설명 |
📝 | 메모 | 요약, 노트, 문서화 |
🧪 | 실험 | 테스트, 시도, 실험 |
🚫 | 금지 | 하지 말아야 할 것, deprecated |
🔄 | 리로드 | 반복, 루프, 순환 |
⏱️ | 스톱워치 | 성능, 시간 측정 |
🕒 | 시계 | 지연, 일정, 대기 |
🧩 | 퍼즐 | 모듈, 구성 요소 |
🧾 | 영수증 | 로그, 출력 결과 |
🗃️ | 카드 박스 | 데이터 저장소, 테이블 |
📂 | 폴더 | 디렉토리, 구조 |
📦 | 박스 | 패키지, 라이브러리 |
📮 | 우체통 | 입력, 제출 |
📤 | 아웃박스 | 출력, 전송 |
🔐 | 자물쇠 | 보안, 인증, 접근 제한 |
🧱 | 벽돌 | 빌드, 인프라 |
🧰 | 도구상자 | 툴셋, 유틸리티 모음 |
🖥️ | 컴퓨터 | 서버, 시스템 |
💾 | 플로피 | 저장, 파일, 백업 |
📡 | 안테나 | 네트워크, 통신 |
🌐 | 지구본 | 웹, 인터넷, 글로벌 |
🔧 | 렌치 | 유지보수, 설정 |
🔋 | 배터리 | 자원, 리소스 상태 |
🧯 | 소화기 | 문제 해결, 에러 대응 |
📅 | 달력 | 일정, 데드라인 |
🪛 | 드라이버 | 수동 작업, 직접 수정 |
📢 | 확성기 | 공지사항, 중요 알림 |
🪙 | 동전 | 비용, 결제, 라이선스 |
🎯 | 다트 | 목표, 타겟, KPI |
🧾 | 로그 | 기록, 로그 분석 |
셋
넷
하나
둘
셋
넷
하나
하나
If you have a very long (or intricately numbered) wiki page, you can use this extension to automatically insert section numbers (for example: 3.4 or 1.2.2.4) into the page using {{#secnum:n|section_title_goes_here}}.
For example, you can write see section {{#secnum:n|Boring Heading}} for a map of this and it will be replaced with "see section 4.7 for a map of this".
You can also use {{#secnum:Y|title_goes_here}} to add an auto incrementing variable to the end of the section number. Useful in creating numbered lists, like:
- {{#secnum:Y|title #8}} It contains some more items.
- {{#secnum:Y|title #8}} It contains some more items.
- {{#secnum:Y|title #8}} It contains some more items.
- {{#secnum:Y|title #8}} It contains some more items.
- {{#secnum:Y|title #8}} It contains some more items.
- {{#secnum:Y|title #8}} It contains some more items.
— basic comment form, sufficient for most things.
<comments allow="Derfel,Jack Phoenix,Misza" /> — only allows the users Derfel, Jack Phoenix and Misza to submit comments. <comments voting="Plus" /> — prevents users from rating comments negatively (thumb down), allowing only positive (thumb up) vot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