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당 문서에 연결된 문서의 변경사항을 확인하려면 문서 이름을 입력하십시오. (분류에 들어있는 문서를 보려면 분류:분류명으로 입력하십시오). 내 주시문서 목록에 있는 문서의 변경사항은 굵게 나타납니다.
약어 목록:
- 새글
- 새 문서 (새 문서 목록도 보세요)
- 잔글
- 사소한 편집
- 봇
- 봇이 수행한 편집
- (±123)
- 바이트 수로 표현한 문서 크기의 차이
2025년 8월 8일 (금)
|
새글 14:10 | HASH 조인 13개 바뀜 역사 +14,521 [Oracle (13×)] | |||
|
14:10 (최신 | 이전) +2 Oracle 토론 기여 (→해시 조인(Hash Join)) | ||||
|
14:08 (최신 | 이전) +638 Oracle 토론 기여 (→해시 조인(Hash Join)) | ||||
|
13:36 (최신 | 이전) +230 Oracle 토론 기여 (→해시 버킷 개수의 결정) | ||||
|
13:36 (최신 | 이전) +703 Oracle 토론 기여 (→Hash 버킷의 역할과 기능) | ||||
|
13:32 (최신 | 이전) +778 Oracle 토론 기여 | ||||
|
13:23 (최신 | 이전) +232 Oracle 토론 기여 | ||||
|
13:18 (최신 | 이전) +85 Oracle 토론 기여 | ||||
|
13:13 (최신 | 이전) +465 Oracle 토론 기여 | ||||
|
09:02 (최신 | 이전) +2,778 Oracle 토론 기여 (→HASH 조인이 느려지는 원인) | ||||
|
08:55 (최신 | 이전) +2 Oracle 토론 기여 (→결론) | ||||
|
08:54 (최신 | 이전) +2,328 Oracle 토론 기여 (→= Hash 버킷의 역할과 기능) | ||||
|
08:45 (최신 | 이전) +2,222 Oracle 토론 기여 | ||||
새글 |
|
08:13 (최신 | 이전) +4,058 Oracle 토론 기여 (새 문서: == 해시 조인(Hash Join) == # 해시 조인(Hash Join)은 두 개의 테이블을 조인할 때, 더 작은 테이블을 메모리에 올리고 해시 테이블을 만들어 효율적으로 조인하는 방식 # 대용량 테이블을 조인할 때 주로 사용되며, 조인 조건에 인덱스가 없는 경우에도 빠르게 작동 === 해시 조인의 원리 === * 해시 조인은 크게 두 단계로 나뉩니다. # 빌드 단계 (Build Phase): ## 옵티마이저는 두...) |
|
10:56 | NL 조인 10개 바뀜 역사 +2,611 [Oracle (10×)] | |||
|
10:56 (최신 | 이전) +4 Oracle 토론 기여 (→인덱스 조건) | ||||
|
10:56 (최신 | 이전) +2 Oracle 토론 기여 (→인덱스 조건) | ||||
|
10:55 (최신 | 이전) +40 Oracle 토론 기여 (→인덱스 조건) | ||||
|
10:54 (최신 | 이전) +1 Oracle 토론 기여 (→인덱스 조건) | ||||
|
10:54 (최신 | 이전) 0 Oracle 토론 기여 (→인덱스 조건) | ||||
|
10:53 (최신 | 이전) −688 Oracle 토론 기여 (→인덱스 오브젝트 장점) | ||||
|
10:52 (최신 | 이전) +2 Oracle 토론 기여 (→NL조인 파이썬으로 구현한 예제) | ||||
|
10:51 (최신 | 이전) +23 Oracle 토론 기여 (→NL 조인의 특징) | ||||
|
10:49 (최신 | 이전) +2 Oracle 토론 기여 (→NL조인 파이썬으로 구현한 예제) | ||||
|
09:10 (최신 | 이전) +3,225 Oracle 토론 기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