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당 문서에 연결된 문서의 변경사항을 확인하려면 문서 이름을 입력하십시오. (분류에 들어있는 문서를 보려면 분류:분류명으로 입력하십시오). 내 주시문서 목록에 있는 문서의 변경사항은 굵게 나타납니다.
약어 목록:
- 새글
- 새 문서 (새 문서 목록도 보세요)
- 잔글
- 사소한 편집
- 봇
- 봇이 수행한 편집
- (±123)
- 바이트 수로 표현한 문서 크기의 차이
2025년 10월 24일 (금)
|
|
11:11 | HASH 조인 4개 바뀜 역사 +515 [Oracle; Dbstudy (3×)] | |||
|
|
11:11 (최신 | 이전) −4 Dbstudy 토론 기여 (→해시 조인(Hash Join)) | ||||
|
|
11:11 (최신 | 이전) −4 Dbstudy 토론 기여 (→해시 조인(Hash Join)) | ||||
|
|
11:11 (최신 | 이전) +12 Dbstudy 토론 기여 (→해시 조인(Hash Join)) | ||||
|
|
09:02 (최신 | 이전) +511 Oracle 토론 기여 | ||||
|
|
11:10 | NL 조인 2개 바뀜 역사 −73 [Dbstudy (2×)] | |||
|
|
11:10 (최신 | 이전) +28 Dbstudy 토론 기여 | ||||
|
|
11:09 (최신 | 이전) −101 Dbstudy 토론 기여 (→Nested Loop Join 의 개념) | ||||
2025년 10월 23일 (목)
|
|
13:55 | 해시 버킷의 저장구조 8개 바뀜 역사 +15,114 [Dbstudy (3×); Oracle (5×)] | |||
|
|
13:55 (최신 | 이전) −499 Dbstudy 토론 기여 | ||||
|
|
13:08 (최신 | 이전) −112 Dbstudy 토론 기여 | ||||
|
|
13:06 (최신 | 이전) −103 Dbstudy 토론 기여 (→해시 버킷에 저장되는 내용) | ||||
|
|
12:53 (최신 | 이전) +9,239 Oracle 토론 기여 | ||||
|
|
12:45 (최신 | 이전) +39 Oracle 토론 기여 (→Hash Entry) | ||||
|
|
12:39 (최신 | 이전) +4 Oracle 토론 기여 (→Bucket 선택 방식) | ||||
|
|
12:38 (최신 | 이전) −623 Oracle 토론 기여 (→각 버킷 엔트리에 포함되는 정보) | ||||
| 잔글 |
|
12:37 (최신 | 이전) +7,169 Oracle 토론 기여 (→Oracle Hash Join의 내부 구조) | |||
2025년 10월 22일 (수)
|
|
19:23 | HASH 조인 9개 바뀜 역사 +1,858 [Oracle (9×)] | |||
|
|
19:23 (최신 | 이전) +1 Oracle 토론 기여 (→HASH 조인에 대한 의문점) | ||||
|
|
19:22 (최신 | 이전) +2 Oracle 토론 기여 (→HASH 조인에 대한 의문점) | ||||
|
|
19:22 (최신 | 이전) −1 Oracle 토론 기여 (→HASH 조인에 대한 의문점) | ||||
|
|
19:21 (최신 | 이전) +18 Oracle 토론 기여 (→HASH 조인에 대한 의문점) | ||||
|
|
19:21 (최신 | 이전) +2 Oracle 토론 기여 (→결론) | ||||
|
|
19:20 (최신 | 이전) +465 Oracle 토론 기여 (→결론) | ||||
|
|
19:04 (최신 | 이전) +3 Oracle 토론 기여 (→실제 상황 비교) | ||||
|
|
19:03 (최신 | 이전) −3 Oracle 토론 기여 (→HASH 조인에 대한 의문점) | ||||
|
|
19:02 (최신 | 이전) +1,371 Oracle 토론 기여 (→HASH 조인에 대한 의문점) | ||||
|
|
12:25 | MERGE 조인 2개 바뀜 역사 +101 [Dbstudy (2×)] | |||
|
|
12:25 (최신 | 이전) −109 Dbstudy 토론 기여 (→MERGE 조인) | ||||
|
|
12:24 (최신 | 이전) +210 Dbstudy 토론 기여 | ||||
|
|
11:42 | 해시 버킷의 저장구조 2개 바뀜 역사 +72 [Dbstudy (2×)] | |||
|
|
11:42 (최신 | 이전) +1 Dbstudy 토론 기여 | ||||
|
|
11:41 (최신 | 이전) +71 Dbstudy 토론 기여 (→Build 단계) | ||||
2025년 10월 21일 (화)
|
|
새글 12:52 | 해시 버킷의 저장구조 7개 바뀜 역사 +6,106 [Dbstudy (3×); Oracle (4×)] | |||
|
|
12:52 (최신 | 이전) +125 Oracle 토론 기여 (→Probe 단계) | ||||
|
|
12:08 (최신 | 이전) −44 Oracle 토론 기여 (→Build 단계) | ||||
|
|
12:07 (최신 | 이전) +891 Oracle 토론 기여 (→Build 단계) | ||||
|
|
12:06 (최신 | 이전) +695 Oracle 토론 기여 (→Build 단계) | ||||
|
|
10:51 (최신 | 이전) +3 Dbstudy 토론 기여 (→각 버킷 엔트리에 포함되는 정보) | ||||
|
|
10:51 (최신 | 이전) +7 Dbstudy 토론 기여 (→각 버킷 엔트리에 포함되는 정보) | ||||
| 새글 |
|
10:51 (최신 | 이전) +4,429 Dbstudy 토론 기여 (새 문서: == Oracle Hash Join의 내부 구조== * 해시 버킷의 저장 구조 === 해시 버킷에 저장되는 내용 === * 해시 버킷에는 '''주소 정보가 아닌 실제 데이터 행(row data)''' 이 저장됩니다. <source lang=python> # 해시 테이블 구조: #[해시 버킷 배열] Bucket 0 → [emp_id=101, name='김철수', dept_id=10] → [emp_id=501, name='이영희', dept_id=10] → NULL Bucket 1 → [emp_id=202, name='박민수', dept_id=20] → NULL Bucket...) | |||
| 11:15 | MERGE 조인 차이역사 −1 Dbstudy 토론 기여 | ||||
|
|
10:55 | HASH 조인 10개 바뀜 역사 +2,946 [Dbstudy (10×)] | |||
|
|
10:55 (최신 | 이전) +8 Dbstudy 토론 기여 | ||||
|
|
10:54 (최신 | 이전) +1 Dbstudy 토론 기여 | ||||
|
|
10:53 (최신 | 이전) −9 Dbstudy 토론 기여 (→해시 버킷의 저장구조) | ||||
|
|
10:36 (최신 | 이전) +45 Dbstudy 토론 기여 (→해시 버킷 개수의 결정) | ||||
|
|
10:32 (최신 | 이전) +3 Dbstudy 토론 기여 (→HASH 조인에 대한 질문) | ||||
|
|
10:31 (최신 | 이전) +2,649 Dbstudy 토론 기여 | ||||
|
|
10:10 (최신 | 이전) +155 Dbstudy 토론 기여 (→HASH 조인이 느려지는 원인) | ||||
|
|
10:06 (최신 | 이전) +71 Dbstudy 토론 기여 | ||||
|
|
09:41 (최신 | 이전) +17 Dbstudy 토론 기여 (→HASH 조인의 성능 향상 원리) | ||||
|
|
09:40 (최신 | 이전) +6 Dbstudy 토론 기여 (→Hash 버킷의 역할과 기능) | ||||